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강 하구 염도구배 내의 주요 반응

전문가 제언
○ 강 하구는 마지막 하천구간으로, 육상의 담수 생태계가 해양 생태계로 옮겨지는 완충지대로 독특한 생물상과 생태적 특성을 갖고 있다.

○ 강 하구에서는 간만의 조수가 하구의 수위를 변동시키므로, 하구의 물은 해수와 강물이 뒤섞이는 과정에서 두 종류의 물이 각기 수위차이로 염도가 일정치 않게 된다. 강물이 높으면 염도가 낮고 해수가 높으면 상대적으로 염도가 높게 되므로, 민물이 해수로 섞여지는 강 하구 생태계의 주요 특징의 하나인 염도구배 현상이 나타난다.

○ 5?8PSU 한계염도 범위의 구배 내에서 주요 생물적 및 비생물적 반응은 속도와 방향 변화에 비선형 역학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 강 하구에 이 염분 범위는 수중생물 내부 환경의 생리적 특징과 외부적 생태요인으로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담수와 해양 동물에 대한 적절한 생활상을 나누며, 여러 형태의 삼투조절능력을 가진 무척추동물을 분류하고, 동물군의 분포범위를 정한다.

○ 하구의 구조(넓이와 거리)에 따라서 염분구배가 완만하거나 급격하게 되는데, 이러한 하구에서 해조류(플랑크톤)의 서식조건은 불리하지만, 망둥어나 게와 같이 염분구배가 있는 곳을 서식지로 하는 생물이 다양해서, 생태적인 환경으로는 오히려 다양한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라 할 수 있다.

○ 하구는 이렇게 독특한 하구 생물종을 포함하여 생물생산성이 높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종합적인 연구수행이 다소 부족한 상황이다.

○ 하구의 염수거동에 따른 기수 생물상 형성 및 기작 규명을 통한 생물학적 기초자료 축적은 하구의 종합적인 관리 및 보존을 위한 필수적인 자료로 향후 이용가치가 클 것이다.
저자
Irena V. Telesh , Vladislav V. Khlebovich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61
잡지명
Marine Pollution Bulleti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49~155
분석자
진*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