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매스 활용의 의의와 향후 방향성
- 전문가 제언
-
○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을 함유하는 화석석탄화 수소자원은 현재 전 세계 일차에너지의 약 8할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것을 대체하기 위한 바이오매스와 태양에너지 등의 신 에너지의 개발이 추진하고 있지만 앞으로 적어도 50년은 인류 에너지자원의 대종을 점하는 것은 틀림이 없다.
○ 바이오매스는 탄소중립의 재생가능 에너지 중에 유일한 탄화수소자원으로 이는 석유와 석탄 등의 화석자원 대체 에너지로 주목되고 있다. 특히 수송용 자동차 연료대체용으로 바이오에탄올과 바이오디젤연료의 제조기술개발이 중요하게 되고 있다.
○ 석탄과 중질유 등의 중질탄화 수소자원은 단위발열량당의 탄산가스배출이 많고 또한 회분과 황, 질소 등의 원자를 상당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법을 개발함과 동시에 지구온난화방지에 기여하기 위하여 효율이 높고 환경부하가 낮은 고도이용법의 실현이 필수적이다.
○ 본고에서는 일본의 산업기술총합연구소 바이오매스연구센터가 주로 식량과 경합하고 있는 목질바이오매스 등의 리그닌 셀룰로오스를 원료로 제2세대의 바이오 에탄올을 만드는 연구 및 가스화·hot gas cleaning과 F-T(Fischer-Tropsch)합성·수소화 분해에 의한 BTL(Biomass To Liquids) 및 이로부터의 바이오매스 전환 프로세스시스템의 평가기술에 대한 개발연구를 기술하고 있다.
○ 석유, 석탄과 같은 화석에너지자원이 전무한 우리나라에서도, 일본의 경우에서와 같이 미활용 목질계 및 초본계의 천연바이오매스와 농산폐기물계, 폐지, 음식물쓰레기, 오니 등의 바이오매스 자원을 효율적으로 수집, 운반하는 기술과 이의 종합처리시스템과 평가시스템 기술개발은 향후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 저자
- Kinya Sakani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21(1)
- 잡지명
- 廢棄物學會論文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8~22
- 분석자
- 손*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