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 소기업에 있어서 흡수 능력과 협동의 범위
- 전문가 제언
-
○ 이 글은 “첨단기술 소기업에 있어서 흡수 능력과 협동의 범위” 주제 하에 서론, 인지적 근접성, 흡수 능력과 범위, 데이터, 연구결과, 시사점 및 제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근접성(proximity)을 지리적, 인지적, 기관적, 사회적 및 제도적 접근성으로 구별하여 “공간”(space)의 취급에 있어서 종래의 지리적 근접성 위주에서 다양한 측면에서의 검토를 시도한 점이 주목된다.
○ 이 연구는 첨단기술 소기업에서 혁신과 관련된 협동연구의 범위를 확대하는데 있어서 흡수 능력(absorptive capacity)의 역할 탐구와 관계가 있다. 1,245건의 협동연구를 하는 316개 네덜란드 첨단기술 소기업 샘플에서 조사 데이터를 추출하면서 R&D지출과 협동연구 파트너와의 거리 간의 관계가 탐구되었고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파트너는 지역에 있었다.
○ 중요한 것은 지리적 근접성은 효과적인 혁신 협동연구를 위하여 필요조건도 충분조건도 아니고 다른 면의 근접성을 강화함으로써 혁신을 크게 촉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지리적, 사회적, 기관적, 제도적 근접성은 파트너가 함께 올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반면에, 인지적 근접성은 상호작용적 학습과정의 발생여부를 결정한다.
○ 이 연구는 한계들을 가지고 있으며 그 한계 중의 일부는 직접적으로 미래연구 방향에 대해 암시하고 있다. 인지적 근접성이 흡수 능력과 혁신적 협동연구 간의 긍정적 상관관계의 추론의 중심이었으나 이 변수는 실증적 데이터에서 이용할 수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인지적 근접성을 R&D의 주요한 학습효과로 추론하였다.
○ 우리나라도 이 연구에서 탐구된 바와 같이 흡수 능력에 유의하여야 하고 첨단기술 소기업의 협동연구 파트너와의 거리를 지리적 근접성뿐만 아니라 인지적, 기관적, 사회적, 제도적인 면 등을 측정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앞으로 이에 관한 연구는 인지적 거리를 더 직접적으로, 더 자명하게 측정할 수 있어야 하고 통제변수로서 신제품 수익의 점유율과 같은 혁신산출 지표를 포함하는 실증적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Jeroen P.J. de Jong, Mark Free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0
- 권(호)
- 39
- 잡지명
- Research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47~54
- 분석자
- 고*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