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흑색종의 분자치료 방법

전문가 제언
○ 흑색종은 멜라닌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대부분은 피부에 나타나지만 피부 이외에 멜라닌세포가 존재하는 부위에서는 어느 곳에서나 나타날 수 있다. 흑색종은 피부암 중에서는 드문 암이지만 피부암 관련 사망의 대부분(75%)을 차지하는 암이다. WHO에 의하면 세계적으로 연간 48,000명의 흑색종 관련 사망이 있다. 다른 인종보다 백인에서 비교적 발생빈도가 높다. 우리나라의 경우 흑색종을 포함한 피부 악성종양은 전체 악성종양의 2% 미만이다. 그러나 노인인구가 증가하면서 피부암 발생도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된다.

○ 흑색종은 초기에 치료하면 완치가 되지만 전이가 진행된 경우에는 재래식 항암요법으로 치료가 어렵다. 흑색종 진단은 병터가 피부에 식별할 수 있게 된 후에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으로는 환자의 유전자형에 근거해서 흑색종을 검사할 수 있게 되면 완치율이 훨씬 증가 할 것이다. 앞으로 고 위험도 유전자형을 가진 사람을 감정할 수 있게 되고 어떤 병터가 암으로 될 수 있는 위험이 큰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되면 분자요법의 밝은 전망을 기대할 수 있다

○ 흑색종은 암의 발생과 진행에 관여하는 신호경로가 다발성으로 존재하는 유전적으로 비 균질적인 암이다. 흑색종과 연관된 신호경로는 CDKN2A 하류의 p53과 CDK/CycD1이 관여하는 각각의 경로, RTKs (c-KIT) 하류의 NRAS/BRAF와 PI3K/AKT3이 관여하는 각각의 경로들을 포함한다. 이들 경로 안에서의 중복 또는 crosstalk 때문에 이들 경로의 어떤 단일성분을 표적으로 하는 요법은 효과가 별로 없고 동시 다발적 표적을 겨냥하는 복합치료법이 성공 가능성이 높다.

○ 최근의 연구진전으로 흑색종 병인 신호경로의 정체가 더 자세하게 밝혀지면서 새로운 요법의 가능성이 열리고 있다. 최상의 치료는 환자 개인의 유전적 변형을 자세하게 검사한 후 이에 맞는 맞춤형 요법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2008년에 c-KIT 돌연변이를 가진 환자 소그룹에서 imatinib 치료가 좋은 반응을 보였다.
저자
Ji, Z,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31
잡지명
Molecular Aspects of Medic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94~204
분석자
강*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