펨토리터 크기의 분석화학
- 전문가 제언
-
○ 1995년 독일 마인즈에서 개최된 마이크로 시스템에서의 화학/생물학 반응에 대한 최초의 연구모임이 시작된 이래 마이크로용량 화학에 대한 기초연구와 미세유체 디바이스기술의 개발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마이크로용량에서는 열전달과 물질전달이 대단히 빠를 뿐 아니라 마이크로채널에서의 유체의 층흐름이 일정한 방향성과 높은 대칭성을 가진다는 특징으로 기본 물리학적 메커니즘과 고유의 동력학을 직접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나노기술의 발달로 미소용량의 크기를 세포 크기인 fL-크기 용기의 제작과 미세유체 디바이스의 제작으로 단일-분자/세포반응의 관찰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수많은 fL 용기 어레이의 제작으로 분석기술이 고도로 병렬화 및 소형화(massive parallelization and miniaturization)가 가능하게 되면서 마이크로어레이, Lab-on-a-chip, 초고속 서열결정(next generation sequencing)기술 등의 발달을 통한 새로운 분석분야 개발에 기여하고 있다.
○ 이 보고서에는 여러 fL 용기와 어레이 포맷의 다양한 생물학적 물질의 검출과 특성분석에의 활용을 소개하고 있다. 분석대상물, 감지요소 또는 세포를 fL 어레이에 탑재함으로서 수천의 분석측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일 효소분자를 fL 어레이에 넣음으로서 용액 중 수 많은 개개의 효소분자를 동시에 분석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새로운 나노제조기술과 보다 감도 높은 측정기술의 개발이 fL 분석화학에 도입되면서 이 분야의 개발을 촉진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 Lab-on-a-chip에 대한 몇몇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으나 fL 분석화학을 연구하는 사례는 분석자가 조사한 한도에서는 지금까지 발표된 바 없다.
- 저자
- Hans H. Gorris and David R. Wal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49
- 잡지명
-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880~3895
- 분석자
- 엄*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