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생물보존 정책

전문가 제언
○ 산업화와 도시화로 자연, 특히 그 안에 포함된 동?식물의 개체 수가 감소하고 멸종이 일어나기도 해서 종의 보존이 극히 중요한 전 지구적 과제가 되었다. 종의 보존을 위해서는 목표의 설정과 운영방법이 중요하다. 지난 수십 년간 보존의 주요 목표는 특정 종의 보존이었으며, 보존구역의 설정과 운영이 중요한 방법으로 널리 선택되어 왔다.

○ 생물 종 보존의 목표와 방법은 시대와 지역(또는 국가)에 따라 변화되어왔는데, 초기에는 주로 자연과학적 요소들에 따라 결정되었으나 점차로 사회문화적 요소들이 비중 있게 반영되었다. 또한 그런 경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며 기후변화 등 전 지구적 변화들도 반영되어야 한다.기후변화와 환경보존이 점차로 강조됨으로써 지역에 국한된 자연 여건만 고려한 보존목표와 방법도 시간에 따라 변화해야만, 즉 적응해야만 하게 되었다.

○ 실제로 토지경관(동?식물을 포함하는 자연과 인간에 의한 개발의 총합)은 많은 자연과학적 및 사회문화적 요인들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미래의 지역별 종 구성도 그런 맥락에서 지배될 것이다. 이 논문은 생물 종들의 생존환경이 변화하는 데 따른 종 보존의 목표와 방법을 여러 면에서 발견적 방법(경험에 의한 느슨한 판단 방법으로 시행착오를 줄임)으로 검토하고 그에 대한 제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큰 방향은 종의 보존에 사회문화적 요소와 기후변화 등을 더 많이, 그리고 더 유연하게 반영하는 것이다.

○ 우리나라에서도 종의 보존이 중요시되어서 보호 종이 지정되고 보존구역이 운영되고 있다. 반달곰의 방사, 황새의 복원사업, 습지의 관리 등이 그러한 예인데 아직도 많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이 논문에서의 토의와 제안은 그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미래의 생물 종 보존 계획을 수립하고 운영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저자
Hagerman, S, Dowlatabadi, H, Chan, K. M. A, Satterfield, 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20(2)
잡지명
Global Environmental Chang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51~362
분석자
최*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