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실록산 탄성체의 충진제
- 전문가 제언
-
○ [SiRR'-O-]x 구조의 폴리실록산 탄성체는 오랫동안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어 왔으나 이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많은 충진제를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 본고에서는 많은 폴리머에 대하여 최근에 발전하고 있는 대체 충진제에 대하여 그들의 장단점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특히 폴리실록산 탄성체의 성질에 미치는 나노입자 충진제의 효과에 중점을 두고 있다. 충진제를 첨가하는 것이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는데 주목적이 있으나 내용매성, 방염성, 투과성의 감소 등이 동반 향상되는 결과 등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 강화재료로 실제로 사용하는 실리카나 카본블랙입자는 좀처럼 완전히 분산되지 않는다. 처음 입자들은 비교적 안전한 집합체 형태를 거쳐 불안전한 배열을 하는 웅집체로 변하는데 이들의 분산이 탄성체의 강도를 좌우하게 된다.
○ 블랜딩 공정에서 이러한 웅집체의 제거는 아주 어려워 이론적인 최적의 기계적 성질을 얻는데 방해가 된다.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 실험으로부터 입자분산도를 최적화 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 응집체의 모양으로 선형, 구형, 가지달린, 별-모양, 층상모양이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강화력을 최적화 하는데 중요하다는 것이 실제 현장에서는 잘 알려져 있다.
○ 나노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층상 점토 나노입자를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나노필러에 대한 연구는 전 세계를 비롯하여 우리나라에서도 KIST, 화학연구원을 비롯한 연구소 뿐 아니라 학교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자동차 및 비행기용 소재로 상용화 된 일본 토요타나 토레이사처럼 우리나라도 나노필러가 도입된 강화 플라스틱의 상용화에 근접해 있으나 보다 이론적인 최적화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 저자
- Dpnale.R.Paul. James E.Mark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35
- 잡지명
- Progress in Polym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893~901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