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매스의 화학 조성

전문가 제언
○ 어느 바이오연료의 화학 조성 및 상(phase)의 조성을 알아내고 특성화하는 일은 그 연료의 연구와 응용과정의 초기 단계에서 가장 중요하다. 이들 조성은 한 연료의 물성, 품질, 가능한 응용 및 환경문제를 특성화하고 결정하는 독특한 기본적 코드이다. 바이오매스의 화학 조성을 알아내기 위해 다양한 연구 및 분석기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바이오매스에 대한 데이터가 방대함에도 다양한 바이오매스에 대하여 근사분석, 원소분석 및 회분분석을 동시에 실시하고, 또 화학 데이터가 완전하게 상호 검토된 것은 거의 없다.

○ 이 리뷰에서는 바이오매스 데이터가 완전한 86종의 자료를 수집, 비교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이고 완전한 근사분석, 원소분석 및 회분분석에 의거한 바이오매스 86종의 화학조성과 회분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또 화학특성 간의 상관관계 및 회합관계를 연구하여 바이오매스 시스템과 유형에서 일어나는 기본적 경향과 중요한 관계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 우리나라에서도 바이오매스 및 바이오연료의 연구개발이 학계와 연구계에서는 물론 기업연구소에서도 활발하다. 이들의 연구보고서에 따라서는 연구한 바이오매스의 화학적 분석을 연구개발의 한 부분으로서 동시에 보고한 사례는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이 리뷰에서처럼 근사분석, 원소분석 및 회분의 성분분석을 모두 분석 보고한 사례는 거의 없으며, 또 분석결과를 상호 검토한 보고도 거의 없다.

○ 바이오매스 및 바이오연료의 화학적 조성은 연료 및 연료 연소의 특성화, 연료의 선택 및 연소공정설계, 환경영향검토 등에 필수적인 정보이다. 바이오매스의 에너지화를 본격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하여 바이오매스의 화학조성 연구는 바이오에너지의 기초연구 및 기반기술 확립에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이 글이 학계 및 연구계의 균형 있는 연구계획에 참고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Stanislav V. Vassilev, David Baxter, Lars K. Andersen, Christina G. Vassilev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89(5)
잡지명
Fue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913~933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