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시스템 분석을 이용한 Waste-to-Energy 기술 비교
- 전문가 제언
-
○ 본 원고에서는 WtE 기술에서 소각하여 에너지를 얻는 대신에 바이오가스, 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 Syngas 등의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고, 이들이 에너지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EnergyPLA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덴마크의 Aalborg대학에서 개발된 EnergyPLAN 프로그램은 www.energy-plan.eu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으며, 에너지 시스템 분석 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덴마크는 2050년에는 필요에너지의 100% 전량을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정책은 우리나라의 저탄소 녹색성장과 그 기조를 같이하며, 신재생에너지 확대 보급은 세계적인 추세가 되었다.
○ 우리나라 녹색성장의 개요를 보면 2030년에는 현재의 화석에너지 비중을 83%에서 61%로 줄이고, 신재생에너지는 2.4%에서 11%, 원자력은 14.9%에서 27.8%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태양광에너지는 현재의 80 MW에서 2030년에는 3,504MW로, 풍력은 199MW에서 7,301MW, 바이오는 187만Gcal에서 3648만Gcal, 지열은 110Gcal에서 5,606Gcal으로 늘릴 계획으로 되어있다. 이는 지금보다 신재생에너지 규모가 51배가 확대되는 것이다. 또한 2030년에는 발전설비 중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을 41%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 이와 같은 계획은 우리경제의 석유의존도 및 에너지 수입 부담을 완화하고 온실가스 감축에 대비하여 피할 수 없는 선택이나, 2030년에도 여전히 화석에너지에 대한 의존도가 61%를 차지함으로써 국제 에너지 수급 차원이나 석유에너지의 공급이 불안한 것을 감안하면 61%도 지나치게 많은 감이 있다.
○ 지금의 화석에너지에 의존하는 경제구조도 마땅히 재편하여 저에너지 소비형 경제, 신재생에너지 의존형의 경제로 개편하여야 하며, 이와 같은 맥락에서 현 정부의 저탄소 녹색경제 지향은 세계적 추세에도 부합하는 것이나 이에 상응하는 경제구조 개편도 따라야 할 것이다.
- 저자
- Marie Muenster, Henrik Lund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30
- 잡지명
- Waste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251~1263
- 분석자
- 길*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