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잠복 중인 HSV-1 유전자 발현의 후생유전적인 조절

전문가 제언
○ 헤르페스 1형 바이러스 (HSV-1)는 숙주의 신경절에 잠복할 수 있는데 세포의 핵 안에서 완전하게 통합되지 않고 뉴클레오솜에서 자리잡고 있다. 잠복하는 동안에는 잠복과 관련이 있는 유전자의 전사(Latency-Associated Transcript; LAT)만 일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세포가 용해하는 유전자(lytic genes)는 전사 억제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 이렇게 유전체에서 전사가 일어나고 안 일어나는 부위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은 후생유전적인 조절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바이러스의 잠복 유전자의 전사조절은 DNA의 메틸화가 아니라 번역 후 히스톤의 변형으로 이루어진다. 바이러스 게놈의 LAT 부위에는 dimethyl H3 K4와 acetyl H3 K9, K14와 같은 전사가 쉽게 일어날 수 있는 메틸화와 아세틸화 부위가 많고 반면 lytic genes는 이러한 마크가 많지 않다.

○ 이질염색질의 마크인 trimethyl H3 K27과 히스톤변이체 macroH2A가 잠복하는 동안에 lytic genes에서 많이 나타난다. 그리고 LAT와 lytic 유전자의 후생유전적인 도매인의 차이는 염색질의 차단으로 척추동물의 단절물(insulators)로 알려진 CTCF 단백질이 결합하여 차단하고 enhancer의 작용을 못하게 한다.

○ 스트레스로 유발된 잠복 바이러스 게놈의 재활성이 일어나면 CTCF의 결합이 끊어지고 차단기능이 없어지면서 lytic 유전자의 전사가 일어난다. 이러한 HSV-1의 잠복은 마우스와 토끼를 모델로 연구가 되고 있다. 마우스와 토끼는 자연에서 감염되지는 않지만 사람의 경우는 토끼와 비슷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어 잠복게놈의 조절과 스트레스가 어떻게 바이러스를 재활성화 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인체에 잠복하고 있는 바이러스를 퇴치하는 데 중요하리라 본다.
저자
David C. Bloom , Nicole V. Giordani, Dacia L. Kwiatkowsk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1799
잡지명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General Subject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46~256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