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회 경비 로봇
- 전문가 제언
-
○ 여기에 소개된 경비 로봇은 서비스 로봇 분야에 해당된다.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대응하고 위험한 일을 대체하는 등 앞으로 많은 보급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로봇이다. 산업용 로봇으로 시작된 로봇의 발달은 현재 서비스 로봇으로 인간 생활에 밀접하게 다가와 지능형 로봇, 인간형 로봇, 개인용 로봇으로 인간과 공생하는 로봇이 되어가고 있다. 자동차나 PC처럼 인간생활과 밀착해서 필수불가결한 도구로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서비스 로봇 분야는 블루오션을 꿈꾸게 하는 또 하나의 대형 시장으로 우리 눈앞에 다가오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 경비 시스템「Reborg Q」는 ‘Remote Cyborg'의 합성어이고, ’Q‘는 Quality, Quick, Q&A의 Q를 뜻하고 있다. 원격지에 있는 로봇을 마치 자기 자신의 분신처럼 이용하고 확장 연계하여 경비원의 능력을 증강시켜주는 사람과 기계의 일체화를 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지능형 서비스 로봇은 사람 대신 작업을 수행하거나 사람을 도와주는 서비스 로봇으로 현재 상품화되고 있는 제품위주로 분류하면 청소용, 경비용, 교육용 및 공공시설용 로봇 등과 같이 사람을 대신하여 작업을 하여주는 생활 서비스 로봇(Home Service Robot)과 개인용, 오락용, 교육용 및 감성 로봇 등과 같이 사람에게 정보를 전달해주고 감성적인 대화가 가능한 개인 서비스 로봇(Human Service Robot)으로 나눌 수 있다. 2025년경 1가구 1로봇을 넘어 2050년경이면, PC와 같이 1인 1로봇 개인 서비스 로봇 시대가 열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2010년 6월 지식경제부 발표에 의하면 서비스 로봇 시장검증 및 시범 서비스 사업에 참여할 11개 로봇 제품 및 서비스를 선정하고 약 22억 원을 지원한다고 발표하였다. 업계에서는 대체적으로 청소용 로봇, 교육용 로봇에 이은 국내 서비스 로봇의 시장 확대에 이번 사업이 윤활유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로봇 사업은 초기 R&D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것도 문제지만 어렵게 개발에 성공했다 하더라도 안정된 시장을 보장받지 못해 불안하다. 이번 시범 사업 등의 지원책이 이런 문제점 해소에 어느 정도는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저자
- Kiyoshi Wkabayashi, Yusuke Sugawa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64(5)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43~47
- 분석자
- 심*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