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적응형 근전 의수의 최근 동향

전문가 제언
○ 인지과학(Cognitive Science)을 간단히 말하면 인간과 동물의 마음에 대한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인지과학은 심리학, 철학, 신경과학, 언어학, 인류학, 전산학, 사회학, 생물학 등 여러 가지 학문과 연관되어 있다. 인지과학이라는 말은 크리스토퍼 롱게히긴스가 당시 인공지능 분야의 최신 연구 내용을 담은 1973년 '라이트힐 보고서(Lighthill report)'에서 처음 사용하였다. 인지과학은 인간의 행동을 시뮬레이션하는 알고리즘을 컴퓨터로 구현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인지심리학과 차이점이 있다

○ 적응형 근전 의수는 최근의 로봇 공학이나 정밀공학, 정보처리공학 등에서 배양된 선진기술을 통합해서 광의의 생체신호를 이용해서 제어하는 신세대 의수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생체 신호로 외부 기계를 제어하는 연구는 종래의 기계기술과는 달리 생각의 유연성이 요구된다. 사람 및 환경 변화에 따르는 기술 즉 적응적 기술을 부각시켜야 한다. 개성 적응형 근전 의수는 입력형 두뇌 기계 인터페이스(BMI: Brain Machine Interface) 연구의 일종이다. 변화가 계속되는 생체신호나 개개인의 다른 특성에 추종하는 새로운 기술이다.

○ 대표적인 뇌기능 영상화 기술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과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사용되는 진단용 MRI는 인체의 해부학적인 단면만 찍는 데 비해 fMRI는 아주 짧은 시간(100~200msec) 안에 뇌를 단층 촬영하여 활동 상황을 영상으로 보여준다. fMRI로 나타난 뇌 활동 영상의 오차 범위는 수㎜ 이내로 작아 상당히 정밀한 결과를 보여준다.

○ 뇌의 가소성은 생동감 있는 변화를 상징하며, 그것은 누구나 뇌를 가지고 있지만 결국 뇌를 어떻게 쓰느냐가 중요함을 생각하게 한다. 뇌를 소중하게 아끼고, 보살피고,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려는 자각이 일어날 때 비로소 뇌의 가치를 새롭게 바라보게 될 것이다.
저자
Hiroshi YOKO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0
권(호)
76(1)
잡지명
精密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24~28
분석자
심*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