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태양광발전의 현상과 향후의 과제

전문가 제언
○ 태양광발전은 태양광에너지를 직접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를 말한다. 실리콘, 칼륨·비소, 황화카드뮴 등에서 p형과 n형의 반도체를 만들고, 그 접촉면에 태양광을 쪼이면 전류가 흐른다. 태양을 쫓아가는 방식과 정치식이 있고, 수광 에너지의 약 10~20%가 전력이 된다.

○ 태양광발전의 연간도입량에서는 2008년도에 스페인, 독일, 미국, 한국, 이태리, 일본의 순서이다. 에너지자원을 갖고 있지 않은 한국에게 에너지창출기술을 확보하는 것은 국가의 지속적인 발전에 필요불가결하고 동시에 한국이 주도권을 갖기 위해서 또 국가전략으로서도 중요하다.

○ 한국정부는 2012년까지 태양광주택 10만 가구 보급 사업을 추진 중이다. 2012년까지 이를 통해 총 300MW의 전력을 생산할 계획이다. 2007년부터 50MW급 차세대기술을 개발하여 보급할 계획이고, 국내 태양광 발전설비용량을 2012년 1,300MW로 확대할 계획이다. 한국에는 총 8.5MW용량의 설비가 보급되어 있다. 국내에는 하화도(60kW급), 와도(30kW급), 창원시청(30kW급), 삼성연구소 등에서 설치 운영하고 있을 뿐이다. 이 중 3,200kW 정도가 발전용이며, 나머지는 통신 및 비상전화, 가로등, 수질개선용, 도로표시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 한국의 전라남도는 국내 최대 청정에너지 메카를 목표로 영광, 신안, 무안, 함평 등 7개 시군에 모두 14대의 태양광발전소 건립을 추진 중이다. 일사량이 풍부해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는 순천의 에너지농장 850kW, 미래에너지 100kW, YMCA 200kW 등 모두 7곳에 2,180kW급 설비가 가동 중이다.

○ 강원도는 미국 최대 태양광발전 전문회사인 파워라이트사 등이 내년 5월 붕어섬 10만평 부지에 태양광 발전단지조성을 발표했다. 춘천 전체 가구 전기소요량의 30%인 10MW를 발전할 계획이다. 이 밖에 경상북도는 문경시와 봉화군에 각각 발전 용량 3,000k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저자
Kondo, M.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129(12)
잡지명
日本エネルギ―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812~816
분석자
문*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