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기화학적 기술에 의한 나노 기능막의 제조와 응용

전문가 제언
○ 최근 전기, 자기박막헤드용 연자성막 및 자기기록매체 등의 품질 신뢰성 향상에 따라 고경도, 내마모성, 내식성, 열적, 기계적 전극촉매 특성이 우수한 경사조성 합금도금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기술은 균일도금을 위한 2중 펄스전류, 다양한 합금조성, 전극촉매를 사용하여 비커스경도 1,200 이상을 얻을 수 있어, 기존의 경질크롬도금을 대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Kanto Gakuin대학의 Tsuguhito Yamashita는 전기화학적 기술에 의한 나노기능 막의 개발과 응용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다층막 및 경사조성피막의 이상적인 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확산층의 두께가 일정하게 되어야 하기 때문에 2중 펄스전류나 전극의 적정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고 전류펄스를 가한 후, 귀한 금속이온이 확산한계전류에 달하기까지는 귀한 금속만 석출하고 그 후에 비한 금속의 석출이 시작된다. 저 전류펄스로부터 고 전류펄스로 또는 고 전류펄스로부터 저 전류펄스로 변화시키는 사이에 정지시간을 두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전류밀도를 제어함으로써 결정질층과 비정질층인 다층막을 제조할 수 있다. 저 전류밀도에서 얻어진 니켈-인 합금피막의 X-Ray 회절강도는 전류밀도 감소와 함께 저하하고 결정구조학적으로도 비정질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의 농도는 표면 근방에 많이 존재하며 Ni-W합금도금에서도 확인되었다. 경도와 결정립자 직경은 결정질층상의 비정질, 비정질층상의 결정질석출의 초기에 생기는 분극작용, 형태, 구조, 조도 및 적층결함에 의한 내부응력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국내 반월공단의 영인플라켐사에서도 경질크롬도금 대용의 내마모 내식용 Ni-W-P, Ni-B-P, Ni-P-PTFE, Ni-SiC-PTFE 다이아몬드 복합도금액을 자동차부품 도금용으로 생산 공급할 예정이다. 입자 직경 수십 나노미터에서 수백 나노미터까지 범위의 PTFE 나노복합기술로 제조된 다층복합 도금기술을 상용화함으로써 6가 경질크롬도금액의 수입대체효과가 기대된다.
저자
Tsuguhito Yamashit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47(2)
잡지명
材料の科學と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56~60
분석자
김*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