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플루엔자 감염의 역학과 백신의 현상

전문가 제언
○ 근래의 유행하는 조류인플루엔자는 사람에서 사람으로 바이러스 감염과 전파는 거의 없는 상황이며 아직은 범발유행(Pandemic)으로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그렇기는 하나 인간형으로의 변화에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는 유전자 변이를 가진 바이러스도 다수 검출되고 있으며 신형인플루엔자 출현의 가능성은 서서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의료면으로서의 대응책은 항바이러스 약으로 인플루엔자 치료와 백신접종 등을 들 수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제제로서는 현재 Oseltamivir(상표명; Tamiflu)나 Zanamivir(상표명; Relenza)가 대표되는 NA방해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약제는 A형, B형 바이러스의 구별 없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 또한 인플루엔자 감염대책으로서 바이러스의 역학적인 해석이 백신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으나 서로 간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예측과 개발 되고 있다. 즉,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변이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항원성의 변화도 따라서 빠르므로 인플루엔자의 역학적인 해석에 기반을 둔 백신바이러스주의 선정과 추천이 백신제조상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면역학적 및 역학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었던 조류인플루엔자 백신은 발육계란을 이용해서 제조된 백신이기 때문에 긴급 시에 백신공급이 기대하기 어렵다(SPF 계란 부족과 제조기간이 장기)는 점이 있으며 계란으로 조류인플루엔자 백신 바이러스주를 발육하여 백신을 생산하게 되면 바이러스가 원래의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순화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조직배양으로 백신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세계적인 규모로서 운영되어야 유사시 부족함이 없이 방역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조직배양으로 조류인플루엔자 백신 생산을 특히 강조하고 싶다.
저자
Yuichi Hara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29(3)
잡지명
細胞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74~280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