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물학적 제제에서 보인 새로운 사실

전문가 제언
○ 분자생물학의 진전은 과거의 난치병의 병태가 조금씩 해명되고 있으며 새로운 의약품에 대한 사전검증을 기반으로 하여 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생물학적 제제에 의한 분자표적요법은 자기면역질환을 비롯하여 류머티즘관절염을 중심으로 한 면역질환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다.

○ T세포를 표적으로 한 생물학적 제제의 역사 중에서 결코 반복해서는 안 되는 비극이 2006년에 일어났다. TGN1412라는 CD28에 대한 IgG4k의 Monoclonal항체 제제의 제Ι상 시험에서 투여 받은 건강인 6명 전원이 소위 Cytokine?Storm으로 인해 급성폐장애, 신부전, Shock 등으로 긴급 입원하게 된 바 있다.

○ 이 제제는 뛰어난 작용물질(Super agonist)제제로서 뇌척수염이나 관절염의 동물모델에서는 통제성으로 T세포만을 활성화함으로써 치료효과를 인정한바 있으나 인간의 임상시험에서는 최초에는 저용량으로부터 서서히 시작하여 한 사람씩 상태를 관찰하면서 투여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투약에 있어 매우 주의를 요한다.

○ 앞으로의 과제 중의 하나는 고가의 생물학적 제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류머티즘관절염에 관한 유효성을 미리 예측하려는 점이다. Infliximab의 유효례와 무효례에서는 Interferon 관련 유전자를 중심으로 한 mRNA의 변화에 다름이 나타나는 것을 먼저 탐지하고 Infliximab 투여 개시 전의 Sample만으로서 65%의 확실성을 14주 후의 유효성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관련약제의 Sample로서 사전의 유효성 여부의 탐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우리나라에서도 생물학적 제제의 개발연구가 활발히 진전되고 있으며 천식 및 아토피성질환을 비롯하여 류머티즘관절염에 관한 생물학적 면역 T세포 활성 억제로 인한 자기면역질환에 관한 치료효과가 있는 단백질제제가 개발 중에 있으나 면역학적 억제제(Inhibitor)에 대한 제어 메커니즘에 관해서는 분자학적 관점에서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고 규명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Hideto Kame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29(3)
잡지명
細胞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62~266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