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물과 미생물 상호작용의 그람양성 부위

전문가 제언
○ 식물생육과 발달은 미생물 존재와 활동에 현저히 영향을 받아 현재까지 식물과 미생물 간 상호작용이 가장 잘 확립된 것은 그람음성 박테리아나 G+C(guanine-cytosine) 함량이 높거나 낮은 그람양성 박테리아 역시 탁월한 바이오방제나 식물생육 촉진(PGP) 및 바이오 환경정화 활성을 보여 이들 미생물을 이용한 산업화는 더욱 활성화될 전망이다.

○ 현재까지 가장 잘 기술된 속은 의심할 바 없이 Bacillus와 Streptomyces 이지만 일부 다른 속 역시 높은 매력과 함께 이들 특성이 추가로 밝혀질 것으로 기대되어 관련 학계의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 성층권의 지속적인 오존 고갈로 지구표면에 도달하는 UV-B(파장 280~ 320㎚의 자외선) 양은 식물 phyllosphere 내 호의적인 그람양성 개체군을 더 많이 전환시켜 온도상승이나 UV 복사에 내성을 갖도록 하여 식물생육 촉진은 물론 다양한 생리작용에 변화가 기대되어 이 분야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 본고에서는 현재까지 밝혀진 그람양성 미생물 부분의 근권이나 근면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중소기업 차원에서 Bacillus sp.를 비롯하여 다양한 미생물 제제가 제4종 복합비료로 시판되고 있으며 살충이나 살균작용을 갖는 농약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그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 더욱이 actinorhizal 공생은 글로벌 바이오 질소고정에 주로 기여하고 있으며, 수많은 그람양성 박테리아는 3자 상호작용의 다른 공생을 촉진함으로써 그 활용가치는 직간접적으로 매우 광범위하여 박테리아는 주요 식물병원체라는 고정관념을 우선적으로 배제해야 할 사안이다.
저자
I. Francis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12(1)
잡지명
Environmental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2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