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 탄생의 역사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은 CD시스템이라 알려진 새로운 오디오 시스템에 대한 완전한 디지털 버전이 출현되기까지의 1973년에서 1979년 동안 필립사 내부에서 어떠한 과정을 거쳐 왔는지, 그리고 1980년 6월 세계적 표준으로 CD표준이 제정되는 배후에 필립사와 소니사 간의 공동 연구과정이 있었고 그 연구과정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 CD의 출현은 음성 저장과 재생의 매체에서 시작하였으나 당시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21세기 정보화 사회는 음성뿐 아니라 텍스트, 영상 등 방대한 양의 정보를 저장, 기록, 검색, 분류하기 위해서 대용량 정보저장 기술의 수요와 필요성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CD-ROM/ CD-R/ CD-RW/ DVD/ DVD-R/ DVD-RW/ 블루레이 등 오늘날 광범위하게 응용되는 수많은 광 디스크의 원조가 CD란 점에 그 의미와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 국내 광 저장장치 산업은 CD-ROM 드라이브가 1993년도부터 본격적인 수출을 시작하여 CDD 경우 2001년 생산액이 1조 910억 원이었으나 2006년 617억 원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에 DVD는 2001년 3,930억의 규모가 2006년 6,733억 원 규모로 증가한 것을 볼 때 CD에서 DVD로 세대교체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2004년 8월 재생전용 블루레이 디스크의 물리적 규격이 완성됨에 따라 새로운 대용량 콘텐츠 기록 저장 매체로 최근 시장에 제품 출시가 가속되고 있다.
○ 2006년 하반기 이후 삼성전자가 블루레이 신제품을 연이어 출시하고 있고 2008년 LG전자 또한 블루레이 플레이어를 선보이는 등 차세대 DVD시장을 겨냥한 움직임이 활발하다. 광학저장매체 관련 산업분야의 치열한 시장 경쟁 환경에서 삼성, LG 등 국내 기업의 시장참여는 해외 선도기업과의 합작회사 형태로 세계시장 1,2위를 다투며 선두주자의 역할을 하고 있으나 원천기술의 확보는 미미한 것이 국내 기업의 현실이다. 대용량, 소형화 등 향상된 연구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 국제표준화 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기술 선점을 위한 노력과 아울러 정부의 지원도 기대한다.
- 저자
- Hans B. Peek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0
- 권(호)
- 48(1)
- 잡지명
-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0~17
- 분석자
- 이*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