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룰라 망에서 백홀의 차세대 도전과제
- 전문가 제언
-
○ 휴대폰에 있어 현재까지는 음성을 위해서는 GSM/ WCDMA을, 상호작용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서는 HSPA(High-Speed Packet Access)를 사용하여 왔으나 인터넷이 어디에서나 가능하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사용이 가능한 LTE(Long-Term Evolution)나 IMT-Advanced를 기반으로 하는 4세대로 접어들고 있다. 도시지역에서는 사용자 수의 증가와 개별 서비스되는 양의 증가로 셀 크기는 점차 줄어들고 대용량 전송을 위해 광섬유 망의 의존이 증가될 것이다. 셀룰라 망 전송에서 비트당 가격을 더 낮게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서비스에 대하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들에 대하여 이 논문은 가능성을 검토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점에 그 가치가 있다.
○ 휴대폰은 기본인 음성통화뿐 아니라 SMS, 이메일, 영상통화, 정지화상 및 동영상 촬영, 위치기반 서비스, 교통카드, 온라인 금융거래, 각종 생활정보, 무선 인터넷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생활 편의 서비스기기로 진화하고 있다. 최근 스마트 폰의 출시로 개인 사용자의 정보량은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종전과 같이 정보량을 기준으로 통신요금을 책정한다면 통신요금의 급증으로 수요자의 감소뿐 아니라 이동통신의 발전에 장애 요소로 작용할 것은 명백하므로 비트당 가격을 낮추는 방안이 필수적이다. 백홀은 이동통신 사업자의 운용경비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 이동통신의 발전 추이를 감안하여 가장 경제적인 해결책을 미리 강구할 필요가 있다.
○ 2010년 3월 기준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 수는 4,890만 명으로 국민 대다수가 휴대폰을 사용하고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휴대폰은 전화로서의 기능뿐 아니라 데이터, IPTV를 기반으로 한 오락, 모바일 서비스 등 이동 소형 컴퓨터로 기능하고 있는 추세로 국내 시장의 안정적 발전은 세계 시장의 경쟁력 우위로 나타날 것이다.
○ 우리나라 IT산업 생산은 2007년 1,120억 불로 세계 전체 생산의 7.1%에 해당하는 세계 4위의 IT 강국이다. 2010년 국내 기업의 스마트 폰 출시로 단말기의 세계 석권뿐 아니라 인프라의 경쟁력도 기대한다.
- 저자
- Stanley Chia, Max Gasparroni, and Patrick Brick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10(5)
- 잡지명
- IEEE Microwave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54~66
- 분석자
- 이*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