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waste 함유금속의 지속가능한 회수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신소재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새로운 기능의 다양한 전기전자제품이 출시됨에 따라 이동통신 기기를 비롯한 일반가정의 전기전자 기기의 교체주기가 짧아지고 그로 인하여 WEEE의 발생량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대응하여 전자스크랩 중의 유가금속의 회수와 유해금속의 제거를 위한 친환경적 기술개발이 요구되었다.
○ 이러한 WEEE 스크랩은 여러 가지 합금은 물론 플라스틱과 내화산화물 등의 복합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에서 납, 카드뮴, 브롬 등 환경유해물질이 다랑 함유되어 산업폐기물로 엄격히 관리되고 있는 한편 금, 은, 팔라듐, 구리, 주석, 니켈, 아연 및 철이 함유되어 이를 회수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 국내에서 발표된 특허동향 조사에 의하면 WEEE 리사이클링에 관련한 특허가 1980년 후반부터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2000년을 기점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WEEE 관련 기술개발이 한계점에 이르러 정체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친환경적인 처리기술과 경제적인 유가금속 회수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유럽연합(EU)에서는 2003년 2월부터 WEEE 지령이 발효되어 각 전기전자 기기 메이커가 2005년 8월 13일 이전에 판매된 제품에 대해서는 시장 몫에 따라 자사제품의 회수-리사이클링 비용을 부담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RoHS에 따라 2006년 7월 1일부터 Pb, Hg, Cd, Cr+6, PBB, PBDE사용을 금지하고 있는데, 우리도 그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아직은 공감하는 결과가 보고되지 않고 있다.
○ WEEE의 질산침출은 용매추출법, 이온교환수지법, 치환법, 수지법으로 행할 경우 질산침출액의 질산농도가 높으므로 과잉의 유리질산을 사전에 제거하여야 한다. 이 경우 대개 알칼리로 중화 침전시켜 제거하고 있으나 처리비용이 고가이고 침전물 처리 등의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된다. 따라서 유리질산을 선택적으로 추출?분리할 수 있는 최적조건을 도출하여 효과적으로 질산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 저자
- AKRIDGE, James, R.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129271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9
- 분석자
- 신*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