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뇌 활동 모니터링용 전극 어레이

전문가 제언
○ 뇌파계(EEG)를 이용한 뇌기능 평가는 PET, MRI, SPECT 등을 이용한 경우보다 간편하고 비용이 많이 들지 않으며 시간분해능이 높아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장점을 갖고 있다. EEG를 사용할 경우 통증으로 인한 뇌파신호를 전극으로 검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전극을 사용하여 전기적 자극신호를 비정상 부위에 가하여 통증을 치료할 수 있다.

○ 이 발명은 뇌 활동 모니터링용 전극어레이의 모양(pattern), 설치 및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환자의 발작 성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뇌 활동 신호 모니터링용 전극어레이 모양에 관한 것이다. 발작중심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은 뇌 영역에서 다른 전극어레이 모양(pattern)을 사용한 것은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즉, 뇌 영역을 전엽, 전엽-측두엽, 측두엽, 양측두엽, 두정엽, 두정엽-측두엽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 이 발명은 간질환자 이외에도 다른 신경학적, 심리학적 조건을 모니터링 하는데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사상태, 수면장애, 파킨슨병, 헌팅턴병, 발작, 알츠하이머병, 편두통, 우울증, 경직성, 헤미발리즘(hemiballism), 이긴장증(dystonia), 운동불능(akinesia), 운동완만, 공포증, 정신분열증, 다중인격장애, 섭식장애 등을 모니터링 하고 관리하는데 응용할 수 있다.

○ 전극어레이의 전극을 환자 측두엽 같은 특정 영역의 뇌 활동신호를 추출하는데 사용할 뿐만 아니라, 만일 뇌 신호가 비정상 활동을 나타내면 전극을 통하여 비정상 뇌 영역에 전기적 자극을 전달하여 환자를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 국내의 뇌파에 대한 연구는 뇌파의 시간적 정보를 이용하여 비정상적인 것을 찾아내고 공간적 정보를 이용하여 국부화 방법을 연구하며 뇌파의 분석알고리즘의 개발 등이 몇 개 대학에서 수행되고 있으나 뇌 영역에 따른 다른 모양의 전극어레이의 개발과 임상연구는 미약한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EEG를 이용한 다양한 모양의 전극어레이를 개발하고 임상에 활용할 수 있는 연구를 추진해야 할 것이다.
저자
Neurovista Corporation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0
권(호)
WO20100065741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58
분석자
이*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