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타원곡선 암호의 원자성 보장 기법 및 시스템

전문가 제언
○ 2010년 7월 현재 국내에 보급된 스마트폰의 숫자가 400만 대를 돌파하면서 스마트폰 기반 다양한 응용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스마트폰 기반 전자거래 서비스 역시 기존의 PC 기반 서비스를 빠른 속도로 대체하고 있다.

○ 이러한 스마트폰 기반 전자거래에서 암호 및 전자서명 기술은 전자거래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가장 효과적인 기술적 대책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전자거래는 근본적으로 계산능력과 데이터 저장 능력 및 안정적인 전력 공급 측면에서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기존의 표준 암호 및 전자서명 기법인 RSA(rivest-Shamir-Adleman)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없다.

○ 타원곡선 암호는 RSA에 비해 암호 키 사이즈가 작으며 빠른 속도로 암호 또는 전자서명을 처리하기 때문에 모바일 전자거래에서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으며, 국내 관련 보안업체들 역시 타원곡선 암호 고속구현을 위해 연구 능력을 집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부터 제기되기 시작한 부 채널 공격방식에 대해 안전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 이 발명은 복합좌표계를 사용하는 부 채널 원자적 곱셈 알고리즘을 특허 청구 사항으로 주장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의 FIPS PUB 186-2의 효율적 구현을 위한 방법을 핵심 특허 사항으로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발명은 사전에 발표된 여러 논문들을 기반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특허의 청구범위를 회피하는 방안 역시 비교적 쉽게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더구나 미국은 2010년도 초 새로운 타원곡선 암호 표준문서인 FIPS PUB 186-3을 발표했기 때문에 이 발명이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 역시 재검토가 필요하다. 국내 보안산업 발전 차원에서 산학연 공동의 미국의 새로운 표준문서를 지원하는 기술과제 추진이 필요하다.
저자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9
권(호)
WO20090024520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1
분석자
남*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