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질량균형 토양섭취 평가법의 농촌과 황무지 주민에 적용

전문가 제언
○ 토양오염물질이 인체에 유입되는 주요 경로에는 피부접촉과 섭취가 있지만 본고에서는 토양섭취 평가방법을 검토하였다. AIR(Acid Insoluble Residue)로 토양섭취를 추적하거나 LTM(Limiting Tracer Method) 및 BTM(Best Tracer Method)이 개발되면서 1980년대 Binder 등의 초기연구에 비하여 크게 발전하였지만 데이터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잠재되어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 과거연구는 도시나 교외환경에 거주하는 주민의 토양섭취에 초점을 맞추어 농민이나 토착민과 같은 토양섭취가 용이한 생활양식의 인간건강 리스크평가를 지원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가 부족하거나 연구방법이 미흡하지만 방목동물을 대상으로 활용되고 있는 수의학적 추적방법을 수정하여 시골과 황무지 거주민까지 확대 적용하려는 연구 의도는 매우 고무적인 사안이다.

○ 우리나라에서는 원자력시설에 사고가 나면 가축의 공기흡입과 토양섭취가 육류의 방사능 요염에 미치는 영향 등의 논문이 있으나 사람의 토양섭취에 관한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과거 토양섭취 연구에서 표시되지 않은 잠재적으로 취약한 주민의 미래 연구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 질량균형 토양섭취 연구는 도시 및 교외에 살고 있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어린이들의 평가에 기초되었다. 그 결과 그러한 연구들이 더 많은 토양섭취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직업이나 생활양식을 가진 시골주민을 반드시 대변하지는 않는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이에 관한 연구는 도시나 교외의 주민이 아닌 사람들을 포함하는 토양섭취를 평가하는 미래의 연구가 주의 깊게 설계되어 한계와 맞닥뜨리는 조건과 결합된 편견과 불확실성의 잠재적 소스를 다루어야 한다.
저자
J.R. Doyle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408
잡지명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181~2188
분석자
옥*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