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생물공학 시나리오에 관한 특별 보고서-생물약제학과 건강관리 분야의 진보
- 전문가 제언
-
○ 인도 생물공학 산업은 최근 폭발적인 경제발전과 더불어 고도로 성장하고 있다. 인도는 생물약제학과 건강관리 분야 변혁에 대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 본 리뷰에서는 인도 생물공학 산업, 특히 생물약제학 및 치료, 진단, 줄기세포 연구, 생물정보학과 관련된 인간의료, 동물의료 등을 포함하는 건강관리 분야에 대한 성과를 강조하였다. 또한 인적자원 개발을 포함해 인도 의료 생물공학 분야를 조절하는 기구도 기술하였다.
○ 인도는 생물약제 시장 잠재력에서 강한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연구개발, 판매, 상업화, 생물약제회사 협회의 지원으로 광범위하고 빠르게 확장되는 인력에 기인한다. 인도의 생물공학 개발은 경제성 추구가 아닌 국민이 감당할 수 있는 의약품, 식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비록 인도 생물공학 회사의 R&D 노력이 본질적으로 글로벌 상대국보다 낮을지라도 건강관리 분야는 첫째로 부상하고 있다.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 개선되어야 하는 몇몇 필수적인 것은 직업적 접근, 관료주의 타도, 간소한 규제활동, 처우개선 등이다.
○ 우리나라의 생물공학 연구는 한국생명과학연구원을 비롯해 각 대학의 자연대와 농대에서 주로 수행되고 있다. 현재 가시적인 성과도 많지만 연구소와 연구원 수는 인도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고로 양보다는 질적 연구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우수 연구원 양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우리나라의 경우 자연계 우수 인재들이 의대를 선호하고 최근에는 생물학, 농업환경, 식품공학, 생화학, 생명공학 전공자들이 재수, 삼수를 하며 의치학전문대학원에 입학하려고 강남에 있는 학원에 다니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전문의와 임상의를 배출하여 의료 품질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의료 발전에도 기초 생명과학 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김우택, 조선일보, 2010. 6. 26.).
- 저자
- Chiranjib Chakraborty and Govindasamy Agoramoorthy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28
- 잡지명
- Biotechnology Advan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6
- 분석자
- 김*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