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은이 브라질 Tapajos River 분지의 환경과 주민에 미치는 영향
- 전문가 제언
-
○ 수은은 크게 무기 및 유기수은으로 나눈다. 유기수은의 한 종류이고 독성이 매우 강한 메틸수은과 관련된 2건의 사례를 들면 아래와 같다.
- 1956년 일본 미나마타에서 주민이 인근 화학공장이 바다에 방류한 메틸수은에 오염된 조개와 어류를 먹고 집단으로 Minamata disease에 걸려 큰 문제가 되었다. 이 병에 걸리면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보이며 심하면 사지가 마비되고 죽음에까지 이르게 된다. 2001년까지 2,265명이 환자로 공식 집계 됐으며 이 중 1,784명이 사망했다고 한다.
- 1970년대 초 이라크에서는 메틸수은 살균제로 처리한 곡물을 섭취한 주민 10,000여 명이 수은중독에 걸려 목숨을 잃었으며 100,000여 명이 영구적으로 심한 뇌손상을 입었다고 한다.
○ 우리나라에서는 1988년 형광등 제조회사에서 일하던 소년이 수은중독으로 사망해 우리 사회에 충격을 주기도 했다.
○ 환경부 환경통계연감(2009)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 혈중 평균 총 수은농도는 2007 및 2008년에 각각 3.80 및 3.00㎍/L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미국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권고기준(5㎍/L)과 독일 CHMB(Commision of Human Biological Monitoring) 권고기준(15㎍/L)보다 낮았다. 그러나 조사 대상자 중 4.9%의 혈중 수은농도는 기준치 15㎍/L를 초과했다고 한다(2007년 기준).
○ 환경부 보고(2009)에 의하면, 전국 주요 수계 135곳의 평균 수은농도는 6.5ng/L로 미국 EPA 생태보호 수질기준(770ng/L)에 비해 매우 낮았다. 민물 어패류 57종 3,710 개체에 대한 수은농도 분석결과로는 종별 평균 총 수은농도가 3.9~163.2㎍/㎏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수산물 총 수은 규격기준(500㎍/㎏)보다 낮았다.
○ 수은노출과 중독은 먹이사슬(food chain)을 통해 흔히 일어나므로 이들 관계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요망된다.
- 저자
- J.J. Berzas Nevado, R.C. Rodriguez Martin-Doimeadios, F.J. Guzman Bernardo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36
- 잡지명
- Environment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93~608
- 분석자
- 한*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