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에너지 서비스 보안: 그 정의, 측정 및 평가 방법
- 전문가 제언
-
○ 에너지 보안의 문제는 국가의 정책 수립에 따른 국민의 동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 전기 요금은 원자력 발전으로 국제적으로 제일 싼 편이므로 전기 요금 조절로 장기적 에너지 안보 문제를 슬기롭게 대처할 필요성이 있다.
○ 에너지 요금의 현실화가 우선되어야 국민의 의식이 달라지고 에너지 보안 의식이 뿌리 내릴 것이다.
○ 전기 제품의 전력 소비율을 낮추는 기술개발에 정부의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
○ 녹색 에너지의 개발로 에너지 보안 의식을 높이고 에너지 산업의 경쟁력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 에너지 보안은 공급/수요의 균형이 전제되어야 생산자와 공급자 간의 동등한 경쟁력이 유지되어 에너지 보안의 실효성을 거둘 수 있다.
○ 에너지 자원이 고갈되는 국제적 상황에서 에너지 자원 개발에도 많은 투자를 하면서 에너지 절약도 정책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Jaap C. Jansen , Ad J.Seebregt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38
- 잡지명
- Energy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654~1664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