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막 실리콘 태양전지의 응용
- 전문가 제언
-
○ 지구온난화의 가장 큰 원인은 이산화탄소이고 인위적으로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는 주로 에너지를 얻기 위한 화석연료의 연소에 기인하고 있다. 미국 에너지 정보국에서 발표한 세계 에너지 전망 2007에 의하면 2004년에서 2030년 사이에 에너지 소비량은 57%나 증가할 전망이다. 화석연료는 점차 고갈되어가고 에너지 소요량은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한편 지구 온난화로 기후 조건이 급변하여 환경보전은 늦추어서는 안 될 상황에 이르렀다. 일본에서는 2050년 까지 지구 온난화 가스를 현재의 60∼80% 삭감할 장기 계획을 세우고 있다.
○ 환경을 보전하면서 늘어나는 요구를 보충할 에너지원으로 태양에너지, 수소에너지, 풍력 및 조력 발전, 원자력 발전 등을 들 수 있다.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태양열을 직접 이용하는 방법과 태양열로 다른 매체를 가열하는 방법 그리고 태양에너지로 직접 발전하는 방법 등이 있다. 태양광 발전은 지구 온난화 대책에서 중요한 기술의 하나다. 본 논문에서는 박막 실리콘 태양전지에 의한 발전방법에 대하여 소개 했다.
○ 박막형 실리콘 태양전지는 평면배열이 가능하므로 설치간격을 두지 않고도 낮은 각도로 평면 설치하면 지붕이 받는 태양 복사열을 차단하여 옥내의 온도상승을 줄여주는 역할도 한다. 실리콘 박막의 일부분을 레이저 처리로 제거하여 투광능력을 확보하기도 한다.
○ 1954년 실리콘 태양전지가 미국에서 처음 소개된 이후 일본에서는 1980년경부터 박막 실리콘 태양전지의 기초연구를 시작하여 1997년 아모르퍼스 실리콘 태양전지와 박막 미결정실리콘 태양전지를 적층한 박막 실리콘 하이브리드 형 태양전지를 연구하기 시작하였고 1999년에는 공장을 가동했다.
○ 우리나라도 연구기관과 많은 기업에서 태양전지 개발에 열중하고 있다. 앞으로 양질의 태양전지를 싼 값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 태양광 발전의 걸림돌인 발전단가와 투자비를 줄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Y. Nitt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24(2)
- 잡지명
- ニュ-ガラス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0~34
- 분석자
- 김*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