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물중의 유해한 오염물질 흡착용 셀룰로오스의 방사선 그래프트 중합

전문가 제언
○ 본 논문에서는 천연 고분자인 셀룰로오스의 방사선 화학에 중점을 두었다. 사슬 중의 특정 위치에서 발생된 자유라디칼과 여러 종류의 단량체 그래프트 중합을 위한 다양한 그래프트 기술 및 그래프트 중합된 셀룰로오스의 흡착제 응용에 대한 핵심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 셀룰로오스는 식물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천연 고분자의 구조 물질로서 결정성이 높은 구조를 형성한다. 셀룰로오스는 물에 불용성이고, 재생이 가능하여 금속 이온과의 결합능력이 보강되면 산업폐수의 오염물질의 흡착제에서 매우 경제적인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아미드 등은 그래프트 단량체로 작용할 수 있으며, 그래프트 중합된 셀룰로오스는 기능기인 카르복시기와 아미노기 등을 생성하고 수용액의 금속 이온과 결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그래프트 중합의 변수로는 개시 방법, 개시 형태, 단량체 농도, 셀룰로오스 기질, 반응시간, 온도 및 가교제 유무 등에 따라 다양하므로 공중합체의 특성 구현을 위해서는 최적 중합공정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필요하다. 금속 이온의 종류에 적합한 메커니즘 및 흡착능력을 최적으로 할 수 있는 단량체의 선택이 중요하다. 그래프트 기술로서 화학적, 광화학적, 효소 유도, 플라즈마 유도 등이 있으나, 최근에는 독특한 장점을 지닌 고에너지 이온화 방사선 그래프트 기술이 다시 크게 주목 받고 있다.

○ 현재까지 산업폐수의 중금속을 제거 및 분리하는 데 화학 침전, 화학적 산화 또는 환원, 여과, 전기화학적 처리, 이온 교환, 여과, 역 삼투, 막 기술, 증발 농축, 흡착 등 다수의 화학 공정들이 사용되어 왔다. 2010년 3월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자성 캡슐 속의 CNT의 나노 구조체를 합성하여 폐수의 중금속을 흡수 및 탈착할 수 있는 기술을 발표하였다. 지금까지의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셀룰로오스와 같은 천연자원을 활용한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중금속 흡착제에 대한 연구가 지속된다면 이 분야에서도 국내 연구진의 신기술 개발이 기대된다.
저자
L. Wojnarovis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79
잡지명
Radiation Physics and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48~862
분석자
나*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