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기물 박막과 기능성 폴리머 층의 CVD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의 소수의 대학 연구실에는 세계적수준의 유기물 박막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예로 한양대학교 유기박막 연구실은 유기물 박막의 분자수준 제어 및 분자적 특성평가를 바탕으로 나노미터 수준에서 분자들의 패턴형성과 나노구조물 제조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는데 전 세계적으로도 관련 분야 연구자가 극소수에 지나지 않는 분야다

○ 나노기술과 바이오기술을 융합하는 기술 분야는 고부가가치의 의료공학분야에 큰 발전을 가져올 것이다. 노인성 치매와 같은 난치병을 일으키는 DNA구조를 찾아내고 이를 진단할 수 있는 나노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급속히 노인인구가 증가하는 우리나라 고령화 추세에 비춰볼 때 사회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혈액을 타고 몸속을 돌아다니며 치료를 할 수 있는 나노로봇까지 개발하게 된다면 많은 난치병이나 불치병의 치료까지도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 Hybrid IC는 차세대 전자기기 연구의 기초 연구로서 차후 산업화를 주도할 수 있는 중요한 소자이며 본 소자에 대한 연구는 기존 실리콘 대체 플렉시블 박막 트랜지스터에 관한 연구를 실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응용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실제로 많은 기업이나 학계에서 제품에 실제 적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현실적인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향후 Hybrid 실제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대면적, 높은 생산성의 대량 생산이 가능한 공정 조건이나 균일한 특성을 낼 수 있는 소자 및 방법에 대한 연구는 물론이고 제품 수명 측면이나 그밖에 신뢰성 확보를 위한 기술적인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우리나라의 대기업 반도체 회사에서 당장의 산업화에만 급급해 원천기술 확보를 소홀히 한다면 반도체 무역적자는 날로 늘어날 것이다. 실제로 많은 연구자들이 물질의 특성에 대한 파악 없이 단편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화학, 물리, 생물, 전자공학 등 나노기술과 관련된 분야의 전문가들이 합심해 다양한 각도에서 복합적인 연구를 진행해야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자
Ramaswamy Sreenivasan, Karen K. Gleas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15
잡지명
Chemical Vapor Deposi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77~90
분석자
김*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