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활막 관절의 생체공학적 설계, 조립 및 시험을 위한 형상, 하중 및 운동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는 지난 2002년 노인 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7%를 차지해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 고령화가 가속화 되어 2020년경에는 노인 인구 비율이 14.4%에 달해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 노령 인구의 증가로 무릎관절에서 퇴행성관절염으로 고통 받는 환자가 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55세 이상의 인구 중 80~90%는 관절에서 퇴행성 변화가 관찰되고 있다. 우리나라가 서구에 비교해 관절염 환자가 많은 것은 관절에 부담을 주는 온돌문화라는 주거방식이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운동부족과 비만이 새로운 사회문제로 등장하면서 젊은 층은 물론 청소년층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 우리나라에 사용하고 있는 관절 대체장치의 경우 대부분 외국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생활환경, 체형 등을 고려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특성에 맞는 관절 장치의 개발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 인공관절 시술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재질은 금속재료, 플라스틱, 세라믹 등이 있는데 각각 단점을 갖고 있다. 최근에 관절연결 부위에 마모와 마찰에 우수하고 생체 적합성이 뛰어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 Ethylene) 재료나 특수 세라믹 재료를 이용해 재수술로 인한 신체적 통증과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우리나라 특허청의 자료를 보면 인공관절 소재로 사용되는 초고분자 분야의 특허출원은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최근에는 고분자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방식에서 나노기술, 방사선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출원 건수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내국인이 출원한 국내 출원은 2003년 이후 감소하여 2005년 이후에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국내에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인공관절 개발의 연구 및 특허가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 저자
- Gregory M.Williams, Elaine F.Chan, Michele M.Temple-Wong, Won C.Bae, Koichi Masuda,William D.Bugbee, RobertL.Sah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43
- 잡지명
- Journal of Biomechanic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56~165
- 분석자
- 김*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