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TGFβ 신호계: 암 진행에서의 복잡한 회로망

전문가 제언
○ 본 리뷰는 암세포에서의 TGFβ 신호계 조절에 대한 최신 정보들을 알아보고, 세포에서의 이들 경로나 미세환경의 손상이 어떻게 종양형성과 종양진행을 가져오는지 알아본 것이다.

○ TGF-β는 종양 형성과정에서 종양억제 또는 종양진행 인자로 작용할 수 있으며(예, TGFβ가 암 진행의 초기 단계에서는 전이촉진 효과인 반면, 후반기에서 종양촉진 효과), 수많은 세포상황 의존성 인자들이 TGF-β-신호계 조절에 관여한다. 생리적 조건에서 TGF-β 신호계 조절인자들의 평형 교란이 특정 세포들의 성질을 변화시켜 암세포로의 형질전환을 유도시키므로 TGF-β 신호계의 ‘표준화’가 새로운 항암 약제 개발의 중심적 전략이라 할 수 있다.

○ TGF-β 신호계 조절인자들을 임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종양 미세환경의 고려가 요구된다. 왜냐하면 그것이 종양세포들의 세포양상 결정의 중요 단서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또한 TGF-β가 종양의 종류나 그 밖의 요인들에 따라 종양 줄기세포의 자기재생과 분화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TGF-β를 기초한 치료전략은 각 경우에 따라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하겠다. 더불어 이러한 전략이 정상 조직에는 유해한 점이 없는지도 고려해야 하겠다.

○ TGF-β 신호계에 의한 종양세포의 세포사멸과 자가소화의 촉진 경로를 통한 암치료 전략도 연구의 대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 국내 연구는 암의 형성, 진행이나 전이와 관련된 TGF-β 신호계에 의한 조절 기구에 대한 연구들이 여러 연구실에서 수행되고 있으며, 이를 기 초로 한 암치료 전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앞으로 TGF-β 신호계 조절인자들을 이용한 암치료 전략 기술 개발에 있어서 여기에서 제시한 여러 문제점들을 고려해서 접근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
Hiroaki Ikushima and Kohei Miyazon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10
잡지명
Nature Reviews Cancer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15~424
분석자
강*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