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화학물질규제와 탈할로겐 방염가공의 동향

전문가 제언
○ 최근 EU, 미국 등 선진국의 할로겐계 난연제를 목표로 한 환경과 안전 관련규제의 강화와 과다한 표준화 등의 무역장벽화에 의해 각국의 관련제품 제조사는 탈 할로겐 방염가공 기술의 개발을 강요받고 있다.

○ 난연재료의 최근의 연구과제로는 고효율의 환경대응형 난연화 기술을 들 수 있다. 난연효율의 향상은 원가 절감, 물성의 향상으로 연결되며 환경안전성의 중시는 사용자의 안전, 지구환경의 보전으로 연결된다. 금일 세계적으로 보아 난연규제에서는 유럽이 가장 앞서며 그 뒤를 미국, 일본 등이 따르고 있다.

○ 이 보고서에서는 최근 가속화되는 EU 중심의 세계적인 환경과 안전 관련규제의 최신 동향을 통해 할로겐계 난연제의 규제상황과 섬유분야에 대한 탈할로겐 방염가공의 현황 및 향후 전망을 소개함으로써 향후 관련 분야의 연구개발 방향을 제시했다.

○ 현재는 난연효과의 측면에서는 할로겐계 난연제가 가장 뛰어나지만 연소 시에 다이옥신, 퓨란 발생 등의 환경오염이 문제된다. 할로겐계 난연제의 난연효과를 높이는 삼산화안티몬은 인체에 대한 영향이 우려된다. 따라서 환경과 안전성의 관점에서 탈할로겐화 및 유해가스 저감 등을 목표로 한 난연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탈할로겐계 난연가공을 한층 추진하기 위해서는 현재 출시된 다양한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섬유 소재나 사용자의 요구 성능에 적합하도록 조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 한편 대한민국 특허청 자료에 의하면 비할로겐계 난연성 플라스틱 관련 특허출원에서는 1986년 일본 Mitsubishi사가 ´난연성 수지 조성물´ 출원 후 1996년 이전까지 매년 2건 이하였다. 1996~2001년에는 기술개발 등에 의해 연평균 6건으로 증가했으며, 2002~2006년에는 연평균 23건으로 급증했는데 이는 각국의 관련 규제 강화 등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기술별로는 범용플라스틱 소재가 41%로 가장 많고 반도체 기판용 33%, 전선용이 20%였다.
저자
OCHI Seiic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63(4)
잡지명
纖維機械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03~208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