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소/연료전지의 북미 및 국제적 표준화 작업

전문가 제언
○ 연료전지와 수소기술이 연구개발 단계에서 상업화 단계로 진전되면서 소비자의 안전을 보증하기 위하여 국제적 안전표준과 코드가 제정되어가고 있다. 국제표준화기구 ISO에서는 수소분야 ISO/TC 197 (Hydrogen technologies)를,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에서는 연료전지분야 IEC/TC105(Fuel cell technologies)를 중심으로 국제 표준화작업을 수행하고 있는데 아직은 그 초기단계라고 볼 수 있다.

○ 이 과정에서 선진국은 자국의 입장을 주도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국가차원의 전략적인 접근을 추진하고 있다. 또 선진국은 국제표준을 선점하기 위해 최대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글은 미국과 캐나다의 표준 개발기구들의 활동과 전략을 소개하고 있어 후발주자인 우리에게 참고가 될 만하다.

○ 새로운 기술 분야에서는 표준을 높이 설정하면 이를 무역장벽으로 적극 활용함으로써 자국시장을 방어하는 한편 세계시장 공략의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표준에 대한 국제동향 파악 및 표준을 염두에 둔 기술개발로 국제표준을 선점한다면 규격 미 획득에 따라 발생하는 기존투자나 설비의 사장 및 전환에 따른 막대한 비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국제표준 제안은 기술개발 기초연구가 완료되었을 때 개시될수록 유리하다. 신기술에 대해 국제표준 제안활동을 별도로 지원하면 개발된 기술의 국제표준 반영률을 높일 수 있으며 국제표준을 선점할 수 있다.

○ 수소 및 연료전지의 국제표준화를 위하여 우리나라 기술표준원에서는 한국정밀화학공업진흥회 산하에 “수소?연료전지표준화사업”을 두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하여 산?학?연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국제표준화 및 기술기준 대응방안을 적극적으로 도모하고 있다. 또 국제표준화회의를 2009년 유치하는 등 우리나라 산업체가 개발한 부품기술 등을 국제표준에 반영하는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다만 이런 대책들을 추진하는 전문가들이 학계 및 산업체에 적을 두고 있어 이런 일만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전문인력과 기구를 양성할 필요가 있다.
저자
Julie Cairn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35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767~2771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