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근력을 위한 저항성 운동-메타 분석
- 전문가 제언
-
○ 노화하는 사람 중에서 체력 개선을 위한 저항성 운동의 효과는 조사에 따라 서로 일치하지 않고, 다수의 체력 결과를 위한 연구의 종합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재검토는 기존 자료를 수집하여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PRISMA)의 추천방법에 따라 분석되었다.
○ 메타 분석은 노화하는 성인에서 여러 가지 체력 결과에 대하여 저항성 운동의 효과를 결정하고자 실시되었다. 50세 이상의 성인에서 무작위 대조시험, 그리고 무작위 또는 비 무작위 연구가 포함되었다. 자료는 무작위 효과 모형을 사용하여 합쳐졌다. 4개의 일반적인 체력 시험에 대한 결과가 주효과로 분석되었다.
○ 분석된 47개의 연구에서 1,079명의 피실험자가 포함되었다. 각각의 체력 결과에 대하여 긍정적인 효과가 인정되었으나 연구 사이에 이질성이 있었다. 회귀는 더 높은 강도의 훈련일수록 더 큰 개선 효과와 연관된 것을 보였다. 종류별 증가량(증가율)은 다리 압력 31.63kg(29±2%), 가슴 압력 9.83kg(24±2%), 무릎 펴기 12.08kg(33±3%) 및 랫 잡아당기기 10.63kg(25±2%)이었다.
○ 그러므로 저항성 운동은 고령자 중에서 체력 개선을 위해 특히 고강도 훈련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이 결과는 저항성 운동이 노화와 관련된 일반적인 근육의 약함을 방지하는 실용적인 전략이라고 제안한다.
○ 그러나 근육쇠약은 특정한 기능적인 결손, 질병 공존질환 및 건강관리의 비용확대와 연관된다. 그래서 유의한 이들 결과에 관하여 더 많은 치료 선택 사항을 직접 연구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저항성 운동이 근육의 약함을 방지하는 원인의 기작이 밝혀지기를 기대한다.
- 저자
- Mark D. Peterson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9
- 잡지명
- Ageing Research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26~237
- 분석자
- 정*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