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약물 함유 타깃 나노입자를 위한 블록공중합체의 타깃에이전트 제조방법

전문가 제언
○ 고분자 과학의 발전에 따라 의료분야에도 인공뼈, 인공피부 등 각종 인공장기를 비롯하여 약물제형에도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특히 DDS는 일정한 혈중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일시에 많은 양의 약물을 투여해야하고 반복적으로 투여하는 불편과 부작용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많은 제품들이 상품화되어 있다.

○ DDS 중에서도 가장 바람직한 것은 질병이 있는 조직 혹은 세포에 약물을 집중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목표지향 DDS가 바람직하다. 특히 항암제와 같이 일반 세포에 독성이 강한 약물일 경우 그 필요성은 더욱 증대된다. 목표지향 DDS는 필요한 부위에만 약물을 전달하여 부작용을 최소화 시키고 고가인 약물을 소량만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 본 발명은 목표지향 DDS제품을 만들기 위해 폴리에틸렌글리콜에 타깃에이전트를 붙인 것과 소수성 생분해성폴리에스테르를 결합시킨 두 블록공중합체를 합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공중합체와 소수성 약물을 수용액 중에서 혼합하여 코어에 약물과 폴리에스테르부분이 위치하고 코로나에 PEG-TA가 위치한 나노입자 DDS를 제조한다. TA에 의해 나노입자가 원하는 지점에 약물을 전달한다.

○ 국내에서도 목표지향 DDS연구가 활발하며 상당한 성과들도 도출되고 있다. 의약에서 한 개의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자금과 조직이 필요하다. 약물의 새로운 제형도 신약과 같은 권리를 확보할 수 있다. 국내 제약회사들의 규모가 영세한 점을 감안한다면 새로운 구조의 신약개발보다 새로운 제형개발에 더 많은 투자를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다.

○ 본 발명의 아이디어를 응용한다면 소수성이면서 생체적합성과 생분해성을 가진 고분자와 PEG 외에도 친수성인 고분자도 많은 종류가 있으므로 수많은 새로운 조합의 목표지향 DDS 제형이 가능할 것이다. 약물의 종류에 맞게 새로운 제형을 개발해 볼 가치가 있어 보인다.
저자
Bind Bioscience Inc.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WO20100005740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4
분석자
박*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