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성이 개선된 프리프레그
- 전문가 제언
-
○ 산업분야의 용도 확대, 특히 항공산업에서 섬유강화 복합재료 구조재의 대형화와 형상의 복잡화에 따라 최종제품의 기공도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복합재료 제품의 기공도는 프리프레그의 적층공정 전의 생산과 취급과정에서 공기, 수분, 휘발성분 흡수, 적층공정 중의 공기포획, 경화공정 중 축합반응에 의한 휘발성가스 발생 등에 기인한다. 그중 가장 큰 요인으로 적층공정의 공기포획이 지적된다.
○ 기공은 복합재료의 성능을 크게 저하한다. 실제 기공제거 방법들은 프리프레그 두께나 섬유분율, 적층패턴에 따라 수지가 공기통로를 막는 등 여러 가지 난점이 나타난다. 현재로는 기공도 개선을 위해 부분함침이나, 세미프레그, 수지필름 용융주입법(resin film infusion), 성형에서의 진공통로 설정과 가장자리 가스빼기 등이 주로 활용된다.
○ 이 공개 특허는 프리프레그와 세미프레그에 세공을 천공하여, 적층체에 적극적으로 가스 탈출통로를 분포시켜, 가스제거 능력을 증대시킨다. 프리프레그에 천공을 도입한 첫 공개 사례로 생각된다. 실시 예의 가장자리 가스빼기를 하지 않은 경우의 기공도 측정결과도, 가장자리 가스빼기를 시행한 비교 샘플과 비슷하게, 양호한 성과를 얻고 있다.
○ 이 기술의 가장 큰 문제점은 본문의 내용처럼 섬유손상 효과로, 이는 천공규모를 주의 깊게 조절하므로 영향을 최소화 내지 억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세공의 치수안정성을 위해 고점도의 에폭시수지를 채택하고 있어 공정성과의 조정이 필요할 것이다.
○ 섬유강화 복합재료는 산업분야 용도 확대에 따라 기술개발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국내항공기 제작 참여 업체들의 진출 상황과 외국 선발업체의 기술전개 속도로 보아, 장기적인 관점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섬유강화 복합재료와 주변기술의 자체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 저자
- CYTEC TECHNOLOGY CORP.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48101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7
- 분석자
- 문*남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