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동맥 경화증의 Toll-유사 수용체와 플리크 불안정화

전문가 제언
○ 인체에는 선천성 면역계와 적응성 면역계 두 가지 방어체계가 있다. 선천성 면역계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병원체를 제일 먼저 제거한다. 선천성 면역계의 중요한 구성원이 Toll-유사 수용체(TLR)이다. 사람은 적어도 10개의 TLR가 있으며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병원체에 결합된 분자양식(PAMP)을 표적한다. TLR4는 E. coli와 같은 그람음성균의 LPS(lipopolysaccharides)를 인식한다.

○ 진행성 질병인 동맥경화증은 비교적 큰 동맥혈관의 내피에 상처가 생기면 시작된다. 상처를 내는 요인에는 높은 LDL 수준, 오래된 고혈압, 흡연의 일산화탄소, 당뇨병의 높은 혈당 수준 등이 있다. 상처 부위에는 대식세포, 단핵세포, 비만세포 등 식균세포들과 콜레스테롤, 지방단백질 등 지방질이 모인다. 대식세포는 산화 LDL를 흡입하여 거품세포로 변하고 이 거품세포가 동맥경화성 플라크를 형성한다. 플라크 자체와 또한 이것의 파열이 혈류를 방해하고 동맥 경화증을 일으킨다.

○ 그런데 TLR4는 동맥경화성 플라크에 있는 많은 상이한 세포형태에서 발현된다. 단핵세포는 TLR4를 조금 발현하나 동맥경화성 질병에서는 증가한다. 이 외에 호중구, 수지상세포(DCs), 동맥 평활근, 섬유아세의 TLR4는 동맥경화증에서 상향 조절되고 대조군에 비하여 많이 들어있다. 어떤 세포형태의 TLR4가 동맥경화증 발생과 플라크 불안정화에 가장 많이 기여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 동맥경화증의 발병과정에서 TLR4는 활성화되고, 이로 인해 초기단계에서 플라크가 형성되고 진행된 단계에서는 플라크를 덮고 있는 섬유상 덮개가 약화되어 플라크를 불안정화 한다. 외향적 개조(outward remodeling) 과정에서 혈관 크기가 증가하고 그리고 금속 단백질 분해효소가 생성되는데 이 효소가 플라크 덮개를 약화시켜 플라크를 쉽게 파열시킨다.

○ 동맥경화증은 많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나는 질병이다. 근래에 염증이 동맥경화증의 한 원인으로 인식되어 있고 TLR4가 많은 염증세포에서 발현되므로 이 질병과 TLR4와의 관계가 주목받는다.
저자
Wijnand K. Dekk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209
잡지명
Atherosclerosi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14~320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