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와 로봇이 만드는 자동운전시스템

전문가 제언
○ 고속도로 교통사고의 가장 큰 원인은 졸음운전인 것으로 밝혀졌다. 독일 하노버 의대와 폴크스바겐 교통사고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운전자의 주의력이 떨어져 차선을 이탈해 생기는 사고가 전체의 18%를 차지하고 있다. 자동차의 자동운전시스템은 기계에 의해 인지하고 판단하고 조작하여 자동차 교통사고 원인의 90%이상을 점하는 사람에 의한 실수를 방지하는데 있다.

○ 사고의 가장 큰 원인인 차선이탈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차가 주행 중 차선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도 개발되어 있다. 장거리 운전 중 차선을 이탈하면 경보를 울려 운전자가 차선을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은 카메라로 흰색 차선을 감지하면서 운전자가 안전한 위치를 찾도록 도와주고 전자식 조향장치의 제어기가 자동으로 방향을 조절해 차선을 이탈하는 위험을 방지한다.

○ 최근에 독일의 메르세데스 벤츠에서 전자동 운전시스템을 공개했으며, 곧 양산 차에 적용될 전망이다. 벤츠가 이번에 개발한 ‘Automated driving’은 차량에 장착된 로봇에 의해 steering wheel, 브레이크 페달, 가속 페달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로봇은 입력된 차량 주행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하게 되며, 차량에 탑재된 온 보드 컴퓨터는 시스템이 정확하게 작동되도록 통제한다. 자동운전의 중요한 요소인 차간 거리와 속도 는 설치된 카메라와 센서가 판단해 조절한다.

○ 국내에서는 자동차 부품 전문업체인 만도가 자동 주차시스템과 적응 순항 제어시스템을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했다. 자동 주차시스템은 초음파 센서로 주차공간을 인식한 뒤 전자제어 조향장치로 자동으로 주차해주는 장치다. 적응 순항 제어시스템은 레이더를 이용해 앞에 자동차가 없을 때에는 목표 속도를 유지하고, 자동차가 있으면 목표 차간거리를 유지하는 시스템이다. 현재 국내 자동차에 장착된 시스템은 시속 40㎞/h이상에서만 작동하지만, 만도의 시스템은 시속 0~180㎞/h 사이의 모든 영역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자동차의 자동운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Sadayuki Tsugaw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0
권(호)
64(5)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25~30
분석자
진*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