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기자동차의 공기조화 시스템

전문가 제언
○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자동차를 구동시키는 전기자동차는 1873년 가솔린 자동차보다 먼저 제작되었으나, 배터리의 무거운 중량, 충전에 걸리는 시간 등의 문제 때문에 실용화 되지 못했다. 그래도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크며 운전하기가 쉬워 미국에서 1920년대 중반까지 소량 생산되다가 중단되었다.

○ 그러나 최근 공해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전기자동차는 1990년대부터 다시 개발되었다. 양산 전기자동차 1호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지역에서 시판되고 있는 고성능 전기자동차 GM EV1으로 1996년부터 생산하여 캘리포니아 지역에 보급되었으며, 한번 충전으로 최장 208㎞까지 최고 시속 150㎞로 달릴 수 있다. 그러나 GM은 수요가 많지 않고 수익성이 낮다는 석연치 않은 이유로 전기자동차 EV1의 조립라인을 폐쇄하였다.

○ 미래의 전기자동차 배터리는 그 가격을 낮추고 에너지 축전용량 및 사용가능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축전용량의 경우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공기 아연 전지를 통해 증가된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프랑스 Bollor?에서 개발한 블루 자동차는 리튬 폴리머 전지를 이용하여 한번 충전으로 250km를 주행할 수 있고 최고 시속 125km/h를 낼 수 있다. 2007년 일본에서는 개발된 엘리카는 리튬 이온 전지를 사용하여 최고 시속이 370km/h에 달한다.

○ 전기자동차에서는 겨울 난방과 여름 냉방을 모두 배터리의 전력에 의존 하므로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시스템이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있어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 일본의 미쓰비시자동차가 개발한 iMiEV는 히터로 순환하는 물을 가열하는 방식의 난방시스템을 채택하고 있으며, 1회 충전 시 120km의 주행이 가능하지만, 냉방을 사용하면 100km, 난방 시에는 80km까지 줄어든다. 히트펌프를 통한 냉난방도 검토되고 있으나 혹한기 난방문제 때문에 실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토요타의 플러그인 컨셉 카에서는 히트펌프를 채용한 모델을 2009년 모터쇼에서 선보였다. 또한 열전 소자를 이용하는 냉난방 방식도 연구되고 있다.
저자
Shigeharu Nakane, Masaru Kadoi, Hiroki Seto, Kohei Umez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0
권(호)
64(4)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35~40
분석자
진*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