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임계유체 템플레이트 전석법의 전도성 고분자 나노실린더 어레이
- 전문가 제언
-
○ 나노실린더 구조박막은 직경이 나노오더인 복수의 실린더가 벽면에 수직인 방향을 향하여 거의 같은 간격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진 박막으로 다방면에 걸친 각종 디바이스에의 응용이 기대된다.
○ 전도성 고분자 합성법은 모노머 분자에 화학적 산화제를 작용시키는 화학 중합과 모노머 분자를 전기화학적으로 산화하는 전해중합으로 대별된다. 일반적으로 화학 중합으로 얻어지는 전도성 고분자는 입자상의 침전물이 되지만 전해중합은 전극 상에 박막으로서 생성된다.
○ 그러나 대부분의 전도성 고분자는 거의 유기용매에 불용이기 때문에 캐스트 등에 의한 성형이 불가능하여 가공성이 떨어진다. 그 때문에 용도에 맞는 형태의 전도성 고분자재료를 제조하기 위해 각종 전도성 고분자의 합성법과 합성조건이 제안되어 있다.
○ 방향족 화합물의 산화중합으로 생성하는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과 같이 레독스성과 도핑성 등 여러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능성 재료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이 기대된다. 예를 들면 전계방출 디스플레이 등에서 사용되는 전자방출 재료, 배선재료, 센서, 전기화학 캐패시터, 나노임플린트용 몰드, 프루브현미경용 탐침, 촉매 담체 등 각종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 전해중합은 형성되는 전도성 고분자막의 막 두께를 제어하면서 합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전극계면으로 모노머의 수송이 불충분하면 전극 상에 얻어지는 막은 조잡한 것이 된다. 또한 다공성 기판의 세공 내부에서 전해중합을 하는 경우는 모노머의 수송이 제한되고 전도성 고분자를 세공 내부에 밀착 충전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 이 논문은 반응매체로서 트리플루오로메탄 또는 1-디플루오로에탄과 같은 초임계 유체를 반응매체로 사용하여 전해중합을 함으로써 세공 내부에의 효율적인 모노머 수송이 가능하고, 매우 정확한 전도성 고분자의 나노세공 구조의 전사를 실현할 수 있으며, 고강도를 가진 나노실린더형 전도성 고분자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 저자
- Mahito Atob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61(2)
- 잡지명
- プラスチックス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5~69
- 분석자
- 서*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