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벤즈옥사진의 최근의 발전-새로 개발된 고성능 열경화성 수지
- 전문가 제언
-
○ 폴리벤즈옥사진(Polybenzoxazine)은 새롭게 개발된 부가 중합된 페놀 수지계로, 종래의 노볼락과 레졸타입 페놀수지의 몇 가지 결점을 극복할 수 있는 광범위한 특징과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 폴리머는 (i) 경화 시에 체적 수축이 거의 없으며, (ii) 저흡습성, (iii) 일부 폴리벤즈옥사진의 유리전이온도가 경화온도보다 매우 높으며, (iv) 높은 char 수득률, (vi) 경화에 산 촉매가 필요하지 않고, (v) 경화 과정에서 부산물이 발생되지 않는 다는 특성을 가진다.
○ 벤즈옥사진 기반 재료는 여러 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산업계에서는 아직 별로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모노머 전구체로부터 제조된 폴리벤즈옥사진은 실제 이용에는 몇 가지 제한이 있다. 모노머는 보통 분말이며 박막으로 가공은 매우 어려우며, 생성된 폴리머는 네트워크 구조의 짧은 분자량 때문에 깨지기 쉽다. 취성 수지에 엘라스토머 재료를 첨가하는 방법이 잘 알려진 방법이나, 벤즈옥사진의 본래의 열경화성 수지의 장점이 감소된다.
○ 이에 따라 기계적 특성과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기술적인 전략 즉, 추가 기능기를 가진 벤즈옥사진 모노머의 합성, 폴리머 사슬에 벤즈옥사진의 결합, 벤즈옥사진을 주성분으로 하는 복합물이나 알로이 합성 등의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 그러나 추가 기능기를 가진 수식된 모노머는 합성이 어려우며, 유연한 박막의 제조는 아직 충분한 기술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폴리머 전구체의 경우에서 폴리머 사슬은 생성되는 폴리머의 기계적 성질과 가공성은 향상시키나 폴리벤즈옥사진의 열적인 성질을 희생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경화온도를 100℃ 이하로 낮추는 문제는 아직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의 이 분야의 개발방향은 더 우수한 가공성, 저 경화온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가진 폴리머 합성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 본고는 폴리벤즈옥사진 합성과 관련된 최근의 벤즈옥사진 화학의 개발 사항을 종합 정리하여 보고한 것으로, 이 분야 연구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YUSUF YAGCI, BARIS KISKAN, NARENDRA NATH GHOSH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47(21)
- 잡지명
- 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A: Polymer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565~5576
- 분석자
- 이*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