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폴리카보네이트 제조방법과 장래성

전문가 제언
○ 폴리카보네이트는 내충격성, 내열성, 치수안정성, 투명성, 자기소화성 등의 특성이 뛰어나 전기·전자분야, 정밀기계분야, 자동차분야, 의료분야, 식품 잡화분야 등 여러 용도에서 채택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용도 범위가 더욱 넓어져 여러 수지 중 착실한 신장을 보이고 있다.

○ polycarbonate 수지의 제조방법은 계면 중축합법과 용융중합법 및 용액 중축합법 등이 있으며, 현재는 계면 중축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용액 중축합법은 경제성 면에서 불리하기 때문에 현재는 더 이상 상업적으로 활용되지 않으며, 용융중합법은 공정상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수한 경우에 사용되고 있다.

○ 포스겐을 사용하지 않는 탄산에스테르의 제조방법으로 CO2를 에틸렌옥시드 등과 반응시켜 환상 탄산에스테르를 합성하고, 다시 메탄올과 반응시켜 탄산디메틸을 얻고, 페놀과의 에스테르교환반응에 의해 디페닐카보네이트를 경유하여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실용화되어 있다.

○ 국내에서는 일본 Mitsubishi 합작사인 삼양화성㈜에서 폴리카보네이트를 생산하고, LG화학과 Dow Chemical의 합작법인이 2001년 7월 1일 여수공장을 준공하고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대한 영업권을 인수하여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해 오고 있다.

○ 본문은 폴리카보네이트 제조방법 가운데 포스겐법과 비포스겐법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중합 모노머인 디페닐카보네이트와 디메틸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유기 및 무기 탈수제의 이용방법, 고활성 촉매의 개발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 국내 특허출원의 경우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저열팽창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기술을 출원하고 있으나 대부분 Mitsubishi Chemical 등 일본기업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국내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저자
Jun-Chul Cho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33(2)
잡지명
ペトロテック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28~132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