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통합실조증 환자의 체중증가에의 대응

전문가 제언
○ 통합실조증에 대한 유전학적 연구에서 그 발증에는 환경 소인보다 유전적 소인이 관여하는 것이 많은 것으로 해명되고 있다. 유전자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어떤 유전자의 발현이 환경에 작용한 통합실조증의 발증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하고 있다. 또한 신경 발달장애 가설이나 취약성-스트레스 가설에 크게 관여하는 위험요인으로서 보고되고 있다

○ 복약순응도 저하와 스트레스호르몬 수치 상승이 심혈관질환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바 있다 즉, 안정형 심장질환 환자에서 우울증과 복약순응도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우울증환자의 약 15%가 처방약물을 복용하지 않았으며 또한 우울증환자의 9.4%는 노르에피네프린 수치 상응을 보여 복약순응도가 정신신경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 최근에 세로토닌 특히 5-HT2 수용체의 관여가 주목되어 제2세대 항정신병약이 통합실조증의 제1선택 약으로 사용되며 그 이유는 도파민 D2 수용체의 차단작용이 적고 세로토닌 계에도 작용하여 부작용이 적으며 약성증상과 음성증상에도 효과를 갖는 배경이 있다고 생각한다.

○ Phenothiazine계 유도체나 butylophenone계 유도체인 제1세대 항정신병약이 통합실조증의 치료약으로 오랫동안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세로토닌 특히 5-HT2 수용체의 관여가 주목되어 소위 제2세대 항정신병약이 통합실조증의 제1선택 약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체중증가는 자기평가를 저하하는 정신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그 결과 복약순응도의 저하를 초래할 위험성이 있다. 비만에는 지방세포가 분비하는 adipocytokine의 균형이 붕괴되어 동맥경화를 촉진한다. 또한 상환계 구조가 있는 항정신병약이 체중증가를 일으키기 쉽다. 히스타민H1 수용체 차단작용과 세로토닌 5H2c 수용체 차단작용이 체중증가에 관련한다. 이상과 같이 통합실조증과 비만과의 관련성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관련되므로 좀 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Nagane K.P.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61(1)
잡지명
藥局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93~97
분석자
김*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