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소는 농약, 살충제, 살균제로 이용되며, 화합물인 비산, 아비산, 비화수소 등은 모두 맹독성이다. 혈압강하, 혼수, 경련 등의 급성보다 체중감소, 발암, 지각장애, 빈혈, 구토, 부종 등의 만성중독이 많으며, 중독량은 아비산으로 5~50mg, 치사량은 100~300mg 이다. 그리고 As를 함유한 지하수를 장기간 마시게 되면 색소침착, 피부과각화증, 피부암, 기타 심장혈관, 신경병 혈액, 폐, 방광 및 전립암을 일으킬 수 있다.
○ 따라서 지하수를 식수와 농업용수로 사용하고 대수층이 As로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지역은 지하수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지는 As의 오염이 심한 대표적인 지역으로 많은 조사·연구가 실시되었으며, 지질환경과 관련하여 삼각주 내 지하수의 지화학적 조성과 As 오염 정도를 조사·연구한 것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큰 강 하류의 삼각주를 조사할 경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 농약, 살충제, 살균제, 광산폐수, 산업폐수 등에 의한 인위적 As 오염은 일차적으로 오염원을 줄이고 화학적 및 물리적 방법으로 감소·제거할 수 있지만 본 역의 경우처럼 퇴적물(광물·암석·토양 등)에 의한 오염은 자연적인 현상으로 발생하는 것이므로 오히려 퇴적물과 관련하여 자연계에서 비소의 이동과 분포에 관련되는 조사·연구가 필요하다.
○ As를 함유하는 물질에는 황화비소, 산화비소, 다금속 비소화합물이 포함된다. 황화비소로는 계관석, 웅황, 유비철석, 비화 등이 있으며, 유비철석은 광석, 석탄 및 암석 중에 흔한 미량성분으로 넓게 퍼져 있으며 퇴적물의 Fe과 Mn의 수산화물에 흡착된다. 따라서 황화광물 광산에서 방출되는 강산성의 폐수뿐만 아니라 퇴적물에 함유된 수산화물과 같은 이차광물도 As의 오염원이 될 수 있다.
○ 갠지스 삼각주 평야는 아세아의 대표적 As 오염 지역에 해당되므로 동남아를 포함한 광역적 지화학도 작성의 자료가 되며, 주변 국가의 자료들을 수집하여 종합적으로 비교검토하면 아세아 대륙의 동남부를 포함하는 큰 규모의 자료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