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algal) 바이오연료 생산을 위한 미국의 통합 신재생에너지 파크
- 전문가 제언
-
○ 조류(algal) 바이오매스는 식량이나 삼림과 경합하지 않는 바이오연료의 제3 세대 원료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많은 화석에너지와 물 사용으로 인해 조류 에너지 생산의 긍정적인 면이 사라진다. 이 글에서는 미국 특정 지역에 통합 신재생에너지 파크(IREPs)를 조성하여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화하여 탄소배출 중립의 조류 바이오연료와 시너지 전기를 생산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 산업을 제시하였다.
○ 미국은 최근 청정에너지 및 안보 법안(ACES)을 마련하여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활성화하고 탄소세 적용 등 청정에너지 경제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으며 대규모 지능형 전력망(“smart grid”) 시범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또한 조류와 같은 바이오매스를 차세대 청정에너지 원료로 지정하여 국책 연구과제로 투자하고 있다.
○ 에너지 집약적인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는 에너지 소비의 97%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CO2 배출이 세계 9위이다. 지난 15년간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은 87% 증가하여 OECD 국가 중 1위이다. 앞으로 지구 환경보호를 위한 세계적인 규제 추세와 화석연료의 수급 불안정 가능성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도 IREPs와 같은 더 적극적이고 전략적인 에너지 산업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 우리나라는 정부 주관 하에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 “그린 IT 국가전략”을 수립하는 등 최근 세계 환경부문의 정치적 및 경제적인 변화에 대응하여 적극적인 투자와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환경부처가 주관하는 배출권 거래 시범사업이 금년 4월부터 시행 중에 있다. 그러나 앞으로 환경 규제의 심각성과 우리나라의 에너지 의존적 경제 구조를 고려할 때 국내 기업의 더 적극적인 참여를 위한 공감대 형성, 성과평가 체제, 민관 공동 기술개발 확대, 세제 및 자금지원 등의 독려제도가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Bobban Subhadra, Mark Edward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38
- 잡지명
- Energy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897~4902
- 분석자
- 황*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