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2050년 세계의 식량 생산과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전망

전문가 제언
○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예측은 현재 전 세계 인구 59억 명 가운데 10%가 훨씬 넘는 8억 명이 만성적 기아 상태이고 1천 2백만 명은 기아로 사망하는데 현재도 개발도상국은 1억 6천 2백만 톤의 곡물공급 부족으로 6억 4천만 명이 식량부족 현상이 예상된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이 같은 상황이 개선되리라는 희망의 근거를 찾을 수 없다는 데서 문제의 심각성은 지속된다.

○ 지구온난화, 대기오염 등 환경 문제가 이슈화 되면서 바이오 에너지의 보급 필요성이 대두되어 상용화가 추진되고 있는데, 2000년대 들어 고유가가 지속되고 온실가스 저가의 필요성 때문에 미국, 브라질, 유럽을 중심으로 자국의 풍부한 부존자원을 활용해 바이오 에탄올, 바이오 디젤 등 바이오 가스의 생산과 보급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미국은 1990년대 바이오 에너지 제품과 개발에 관한 정책이 전개되었고 브라질은 에탄올을 생산하는 세계 최대의 알코올 생산 국가이다. 브라질은 바이오디젤 개발을 포함한 사탕수수를 활용한 대체 에너지를 개발하고 있다.

○ 바이오 에너지란 자연계에 존재하는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으로 생물체 유기물을 총망라하는 것으로 각종 동식물과 농림부산물 및 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생물체에 기초한 산업 폐기물, 에너지 작물 등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세계 9위이고, 그 증가율은 세계 2위에 달할 만큼 심각한 수준에 도달해 있다. 이러한 최근의 상황 을 배경으로 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이 국가의 차세대 신 성장 동력으로 공표되었고, 이에 따라 기타 신재생 에너지와 더불어 바이오 에너지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다.
저자
Hiroyuki Kawasi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105(3)
잡지명
日本釀造協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18~123
분석자
이*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