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납 동위원소 지문법을 이용한 중국의 납 오염연구

전문가 제언
○ 지구상에 가장 많이 유포되어 있는 독성 금속물질의 하나인 납은 그 원천을 정확히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본 원고에는 환경에서 발견되는 납의 기원과 경로를 추적하는 곳에 적용하는 동위원소 지문(fingerprinting)법에 관하여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 본 원고는 중국의 납 오염에 관한 과거 역사적 유래와 현재의 현황에 대하여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으며, 가연가솔린의 퇴출 이후 대기 중 납 오염의 변동사항을 측정, 평가하는 데에 납 동위원소 지문법의 적용 과 그 성공적인 사례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다.

○ 환경조사에서 오염의 원천과 경로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납의 오염은 산업공장의 방출, 자동차의 배기가스, 페인트, 농약 그리고 자연 토양 모두가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오염의 원천을 정확히 찾아내기가 어렵다.

○ 중금속오염의 원천과 경로를 확인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많은 샘플의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은 대규모의 데이터베이스와 정교한 통계기법이 요구되며, 상관관계가 낮기 때문에 애매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 동위원소 비율은 농도보다 월등히 민감하므로 동위원소 측정은 오염물질의 원천을 찾아내는 데에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동위원소 지문법은 특정 원소의 안정동위원소 비율을 측정, 평가하는 것으로 납의 출처를 찾는 여러 가지 기술 중에서 가장 인정받고 있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 우리나라도 폐광 인근지역의 토양과 물은 중금속으로 오염되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재 주목받고 있는 4대강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하천 퇴적토의 준설과 관련하여 중금속오염 실태파악과 환경오염방지를 위한 종합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저자
Hefa Cheng, Yuanan H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158
잡지명
Environmental Pollu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34~1146
분석자
윤*량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