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프로바이오틱과 지방저장 조절

전문가 제언
○ 비만이란 우리 몸에서 소비하는 에너지보다 섭취하는 에너지가 증가하여 체내에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 동맥경화, 퇴행성 장애, 기관지염 및 각종 암 등 만성질환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건강상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소식과 운동으로 비만을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근본적으로 유전자의 상호작용이나 환경과 유전자의 상호작용을 이해하여 효과적으로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할 필요가 있다.

○ 최근 단식유도 지방세포인자(FIAF)와 페록시좀 증식활성 수용체(PPAR)의 비만조절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 FIAF는 단식에 의해서 백색지방조직과 간에서 과잉 발현되는데 지단백질 리파아제(LPL)의 강력한 저해제이다. 한편 PPAR은 핵 호르몬 수용체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로 작용한다. 이 수용체는 PPARα,β, γ의 세 가지가 있다. 이러한 전사인자와 조절인자의 연구는 비만이나 과체중을 조절할 수 있는 근본 해결책이다.

○ 이 발명에서는 지방저장 대사경로를 조절하는 프로바이오틱 균주(L. paracaei spp. paracasei F19)를 분리하였으며 이 균주가 생산한 배양액을 사용하여 FIAF 발현을 상향 조절함으로써 지단백질 리파아제의 활성을 감소시켜 세포의 지방산 흡수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이 균주의 배양액은 열처리 하여도 안정하여 여러 가지 유제품, 식이보충제, 제약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어 비만조절 식품에 활용될 수 있다.

○ 최근 프로바이오틱 균주 L. rhamnosus, Pediococcus acidilacti, L. curvatus, S. xylosus, L. sakei, S. carnosus, L. plantarum 등을 이용한 저지방 발효소시지의 제조, L. hekveticus CU631의 크림치즈 제조 등 기능성 발효제품의 생산에 관한 연구는 물론 L. plantarum PL62(KACC 91104), L. rhamnosus PL60(KACC 91105) 등의 프로바이오틱 균주를 이용한 비만치료 관련 특허들이 속출하고 있다. 특히 L. plantarum은 식물성 유산균으로 주로 신 김치에 많다.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비만 관련 프로바이오틱 균주의 개발이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되기 바란다.
저자
ARLA FOODS AMBA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WO20090071086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64
분석자
민*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