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에서의 재생 에너지자원 잠재력
- 전문가 제언
-
○ 최근 인류의 환경과 에너지에 대한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문제로는 온실가스 배출과 화석연료의 고갈이라고 할 수 있겠다.
○ 현재 국내외에서 바이오에너지 생산 원료로 사용되는 바이오매스는 농업작물이거나 농?임산 부산물 또는 유기성 폐기물 등이어서 바이오에너지는 농업과 매우 밀접한 관계라는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 우리나라는 연평균 강수량이 1,245mm로서 강수량이 풍부하고 전 국토가 산지로 구성되어 있어 많은 국가에서 건설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규모 수력보다는 소규모 수력발전 개발이 바람직하다.
○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지표면에 도달되는 태양에너지는 저밀도의 에너지(최대 1100W 이하)로 주간에만 존재하며, 시간에 따라 변화가 크다. 지표면에 도달되는 태양복사 에너지는 주로 열에너지로 이용되는 파장대는 가시광선 대이다.
○ 국내 풍력자원 총 잠재량은 161,7백만toe/년(설비용량 26.4GW)으로 육상과 해상 풍력자원 잠재량의 비율은 29:71이다. 따라서 육상보다 해안을 따라 풍력에너지를 개발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 국내에서는 100℃ 이상의 고온의 지열저장소가 확인이 되지 않았으며, 국내 5km 이내 심도에서 개발 및 활용 가능한 지열에너지 자원 부존량은 약 484억 toe로 2006년 우리나라 1차 에너지 총 소비량의 약 200배에 해당한다.
○ 국내의 심부지열은 온천 외에는 에너지 절약차원에서 냉난방 열원으로 직접 이용한 예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심부 지열에너지 자원개발 및 활용은 고도의 기술력과 많은 초기 투자비가 요구되므로 국가의 지원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Munawar A. Sheikh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13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696~2702
- 분석자
- 조*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