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풍력 개발과 정책

전문가 제언
○ 중국은 2010년까지 풍력설비 용량을 30GW 목표로 예견하고 있다. 이 논고는 풍력발전의 기술적 그리고 경제적 잠재력 또한 중국의 최근 풍력개발, 현존하는 장애 그리고 관련된 중국 정책을 다룬다. 지구 온실가스 방출을 줄이고 풍력발전 기술의 세계적인 발전을 위해서 중국 풍력발전 확산은 매우 중요하다.

○ 세계 각국은 풍력발전 시설을 계속 늘리는 추세이다. 또한 각국은 풍력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고정가격 매입제도나 공급의무할당제(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전력공급업자에게 일정 비율의 자연에너지를 공급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 등의 정책을 펼쳐왔다.

○ 풍력발전은 유럽 선진국의 주요업체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국내 업체들의 경쟁력은 아직 약한 실정이다. 그러나 유니슨과 같은 국내 풍력발전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과 대형 조선사들이 사업다각화 측면에서 진출하고 있어 향후 국제경쟁력 확보가 기대된다.

○ 풍력발전의 현실이 장밋빛이기만 한 것은 아니다. 일본 각지에서 풍력발전에 의한 저주파음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새가 풍력발전기에 부딪혀 죽거나 경관 파괴, 자연 파괴, 풍차 소음으로 인한 건강 피해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서 풍력발전에 대한 반대운동이 종종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 국내 풍력발전 누적 규모는 2007년 기준으로 193MW이며 풍력에 의한 전기 생산량은 399GWh였다. 이는 전체 전력수요량의 0.1%에 해당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정부는 향후 2012년까지 풍력발전 규모를 2,250MW로 키우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내 풍력발전 시장은 이제 본격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따라서 풍력발전 장비의 기술적인 국산화율 향상과 정부의 효율적인 에너지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저자
Cuiping Lia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35
잡지명
Renewable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879~1886
분석자
마*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